기후 위기의 필수 대응책으로 '탄소중립'이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수입니다. 그러나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대폭 늘릴 순 없습니다. 전력수요와 발전설비 계획, 수요관리 계획, 송변전 설비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기가 안정적으로 항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전기본'이라고 불리는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정부가 2년마다 수립하는 15년 단위의 '국가 중장기 에너지 계획'으로, 이같은 전력산업의 방향성과 장기전망, 발전설비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전기본에 따라 어떤 석탄화력 발전소를 폐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 혹은 양수·수소 발전소 등으로 전환할지를 정하게 됩니다. 또 전기본을 전제로 △장기송변전설비계획 △장기천연가스수급계획 △장기 배전계획 등을 세우게 됩니다. 국가 에너지 정책의 근간인 셈입니다.
올해 2월 확정된 제11차 전기본(2024~2038)의 핵심은 '무탄소 전원 확대'입니다. 그리고 처음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가 담겼습니다. 2038년 무탄소 비중을 70.7%를 목표로, 석탄발전 12기를 양수·수소 등 무탄소 전원으로 전환하고, 신규 원전 3기와 SMR 1기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15년 뒤 태양광·풍력을 117.9GW 확대할 목표입니다. 이에 따른 전원별 발전비중은 △원자력 35.2% △재생에너지 29.2% △LNG 10.6% △석탄 10.1% 등 입니다. 그리고 늘어나는 재생에너지를 뒷받침하기 위해 석탄을 제외한 모든 전원들의 설비용량도 확대됩니다.
지난 6월 정권 교체 후 정부가 내년 2월 내놓을 '제12차 전기본'에서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크게 확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