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주 연평균 4.6% 상승
소비자물가보다 1.8%P 높아
|
한국경제인협회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가운데 상승률 상위 15개 품목 중 의식주 항목의 상승 폭이 특히 컸다.
이 중 '주거(住)' 물가가 연평균 5.5% 오르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연평균 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 주거시설 유지·보수(4.0%) 순이었다.
'식(食)' 물가는 식료품(5.2%), 음식서비스(4.0%), 비주류 음료(3.9%) 등으로 평균 4.6% 상승했다. '의(衣)' 물가는 의류 가격이 연평균 2.9% 오르며 비교적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는 연평균 4.6% 올라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p 높았다.
이와 관련해 한경협은 생활 필수품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이뤄져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이 훨씬 컸을 것이라 예상했다.
먼저, 주거 물가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전기·가스 요금이었다. 해당 항목은 원료 수입 의존도가 높아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 천연가스 가격 급등과 환율 상승의 직격탄을 맞았다.
공동주택 관리비도 인건비와 전기요금 인상으로 크게 늘었다. ㎡당 관리비는 2019년 2245원에서 올해 2988원으로 33.1% 상승했다. 국민평형(전용 84㎡) 기준으로는 월 18만8580원이던 관리비가 25만992원으로 뛰었다.
여기에 목재·시멘트 등 원자재값 상승으로 주거시설 유지·보수 비용이 늘면서 전체 주거비 부담이 한층 커졌다.
식생활 물가를 구성하는 식료품과 음식서비스는 물가지수 산출 시 가중치가 높아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보고서는 식료품 가격 상승 요인으로 농산물 유통비용 증가, 국제 농식품 가격 상승을 꼽았다.
운송비와 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47.5%에서 2023년 49.2%로 확대됐고, 기후변화 영향으로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2021년 이후 120을 웃돌고 있다.
식료품 가격 상승은 음식서비스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2019~2023년 외식업계의 영업비용 가운데 식재료비는 연평균 9.8% 늘었고, 인건비(5.8%), 임차료(4.6%), 배달 수수료 등 기타 비용(11.3%)도 모두 상승하며 외식비 인상 압력을 키웠다.
의류 물가는 같은 기간 연평균 2.9% 올랐다. 보고서는 다품종 소량생산 확대, 브랜드 선호도 강화 등을 복합적인 원인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민생 물가 안정을 위해 의식주 각각에 특화된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의 분야는 AI를 활용한 정밀 수요 예측으로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 공정 자동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식 분야와 관련해선 수입 곡물 가격 급등 시 정부가 제분업체에 일부 상승분을 보전했던 사례처럼 '물가 완충 장치'를 제도화하고, 온라인 도매시장 활성화를 통해 유통 단계를 줄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거에 대해선 공동주택 내 LED 조명 등 에너지 절감 시설 도입 등을 통해 주거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