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금융지주, 차기 회장 인선 속도… 진옥동·임종룡 연임 ‘촉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4626

글자크기

닫기

한상욱 기자

승인 : 2025. 10. 15. 17:49

신한·우리, 임기만료 앞 회추위 가동
실적 개선·주주환원 성과 등 '합격점'
포용·생산적금융 행보도 긍정 평가
이사회 경영능력 중시… 안정 택할듯

신한금융그룹과 우리금융그룹이 차기 회장 인선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신한금융은 예년보다 이른 시점에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를 가동해 검증 절차에 착수했고, 우리금융도 조만간 선임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의 시선은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과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의 연임 여부에 쏠린다. 두 회장 모두 임기 중 실적 개선과 주주가치 제고에서 성과를 보여온 만큼 연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어서다. 현 정부의 금융정책 기조에 발맞춰 적극적인 생산적·포용금융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보탠다.

정권 교체로 인해 정부와 금융당국의 입김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지만,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이후 이사회 전반에 경영 성과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만큼 뚜렷한 악재가 없는 상황에서 리더십 교체의 명분이 약할 수 있다는 평가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지난달 26일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경영승계 절차를 개시하고 후보군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과거보다 한 달가량 빠른 속도다. 우리금융도 이르면 이달 중 경영승계 절차를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우리금융은 지난해 이사회 결의로 지배구조 모범규준보다 한 달 빠른 최고경영자 임기 만료 4개월 전까지 승계 절차를 개시하도록 규정한 바 있다.

이들 금융그룹은 내부·외부 인사를 포함한 승계 후보군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지배구조 연차보고서를 보면 신한금융은 자회사 CEO 등 내부 후보 8명을 포함해 총 21명을, 우리금융은 내부 5명과 외부 5명을 합쳐 10명의 승계 후보군을 관리하고 있다. 오는 11월에 압축 후보군(숏리스트)을 추린 뒤, 12월에 최종 회장 후보자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서는 진 회장과 임 회장의 연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재임 기간 중 당기순익이 꾸준히 우상향한 데다, 주주환원이란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정책을 펴는 등 경영 성과 측면에서 '합격점'이란 평가가 나오기 때문이다.

진 회장은 올해 상반기 3조374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하며 신한금융의 반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이끌어냈다. 지난해에는 신한은행이 6년 만에 리딩뱅크 자리를 되찾으며 4조4502억원의 순익을 냈고, 올해는 '5조 클럽' 진입이 유력하다. 수익성 제고와 자사주 매입·소각을 토대로 한 구체적인 주주환원 로드맵은 주주들로부터 호평받고 있다.

우리금융의 숙원인 '종합금융그룹'을 완성시킨 임 회장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다. 작년 우리투자증권 출범에 이어 올해 동양·ABL생명 인수까지 성공하면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그룹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임 회장 취임 이후 이날까지 우리금융 주가상승률은 130%를 웃도는 모습이다.

여기에 두 회장 모두 생산적·포용금융 정책에 적극 동참하며 정부와 호흡을 맞추고 있다. 진 회장은 '헬프업&밸류업' 등 상생금융 프로젝트 3종으로 포용금융을 확대했고,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 금융그룹 회장 중 유일하게 참석하는 등 생산적 금융 확산 의지를 드러냈다. 지난달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뉴욕 순방에도 동행했다. 임 회장도 시중 금융그룹 가운데 가장 먼저 80조원을 투입하는 생산적 금융 전환 계획을 발표하며 눈도장을 찍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과 국책금융기관 수장들이 현 정부 인사로 채워진 만큼, 외부 압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다만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이후 주주환원 확대를 위해 실적 개선 필요성이 더욱 커지면서, 그룹 이사회가 검증 과정에서 후보자의 경영 능력을 우선시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을 위해선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에 각 그룹 이사회도 경영 성과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과거 라임펀드 사태처럼 정부가 그룹 회장들에게 용퇴를 요구할 명분이 없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영향력을 행사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상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