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예방앱 '브레인핏'45로 중장년부터 집중 관리
|
서울시는 19세 이상 시민 10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 서울시민의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인식도 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는 2015년부터 총 4차례 이뤄졌으며, 일반시민 865명(80.8%)과 서울시광역치매센터 치매이해교육을 이수한 '기억친구 리더' 206명(19.2%)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치매에 대한 관심이 많다'는 응답은 76.6%(820명)로 2015년 대비 29.4%포인트 증가했다. '치매 관련 정보를 얻고 싶다'는 응답은 84.6%(906명)로 10년 전보다 41.4%포인트나 상승했다. 원하는 정보는 치매 예방(83.2%), 치매의 의학적 이해(64.9%), 치매가족 지원(63.4%) 순이었다.
치매 예방·증상·대처방법 등을 OX로 답하는 질문에서 평균 정답률은 81.6%로 2015년(71.0%)보다 10.6%포인트 높아졌다. 다만 '치매 친화적 태도' 분야 점수는 평균 59.6점을 기록했다.
영역별로 보면 '치매 지식'이 68.1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매 낙인·차별' 60.6점, '치매 안정(치매 환자와 같이 있을 때)' 50.1점이었다. 조상 대상별로 구분하면 일반시민보다 기억친구 리더가 치매 인식도와 친화적 태도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시와 서울시광역치매센터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예방법을 시민에게 알리고, 치매시민을 도와주는 기억친구 참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또 시는 중장년기부터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앱 '브레인핏 45'를 손목닥터9988과 연계해 지난달 정식 출시했다. 45세 이상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치매 위험도 자가 점검, 뇌 건강을 위한 맞춤형 처방, 하루 5분 치매 예방 및 건강 정보형 퀴즈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가입자는 2만1880명이며 연령대별로는 45∼59세 1만3804명, 60세 이상 876명이다.
이경희 시 정신건강과장은 "서울에 거주하는 약 16만명의 치매 환자가 이웃으로 함께 살아가도록 안정적 돌봄과 인식개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