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농식품부가 내년 시범 사업으로 추진하는 '공동영농 확산지원 사업'은 새 정부 국정과제로 2030년까지 공동영농법인 100개소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우선 6곳이 선정된다.
농식품부는 이들 6곳에 2년간 한 곳당 평균 20억원을 투자한다. 사업 첫해인 내년에는 국비 26억원을 투입해 공동영농법인에 교육·컨설팅, 공동영농 기반 정비, 시설·장비, 마케팅·판로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공동영농 20ha 이상 농업인 5명 이상이 참여하는 농업법인이 사업 대상이다. 쌀을 제외한 두류·서류 등 식량작물, 과수, 조사료 등 모든 품목을 지원한다.
경북에서 사업을 신청하고자 하는 공동영농법인은 시군을 거쳐 경북도에 오는 30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도는 사업성 검토와 심의를 거쳐 다음 달 7일까지 농식품부로 추천한다. 최종 사업대상자는 다음 달 말쯤 선정된다.
선정된 법인은 임대형, 혼합형(농작업수탁+농지임대), 출자형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모델로 육성된다.
도 관계자는 "국비 지원과 함께 농지 임대절차 간소화, 직불금 수령 요건 완화, 세제 개선 등이 이뤄지면서 경북형 공동영농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적합한 신규 지구를 발굴해 국비 공모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가 202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경북형 공동영농'은 문경 영순지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도내 23곳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지주는 주주가 되는 '주주형 2모작 공동영농'이 핵심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의 도전이 대한민국 농업의 틀을 바꾸고 있다"며 "고령화, 정체된 농업소득, 낮은 곡물자급률 등 농업·농촌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농업대전환을 더 빠르게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