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충북도청 브리핑실에서 자신에게 제기된 금품 수수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며 특혜 제공 역시 없었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김 지사가 지난 6월 26일 충북도청 집무실에서 체육계 관계자로부터 500만원이 든 돈봉투를 받은 정황을 포착하고 조사를 벌여왔다. 경찰은 또 지난 4월 미국 출장을 앞두고도 체육계 관계자 3명으로부터 600만원을 받은 혐의도 수사 중이다.
이에 따라 김 지사는 일요일인 지난 19일 오전 피의자 신분으로 충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에 출석해 12시간에 걸쳐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다. 김 지사는 조사 후 "도민께 죄송하다"고 밝혔지만, 금품 수수 사실에 대해서는 끝까지 부인했다.
여기에 금품을 제공한 3명의 체육계 인사들도 김 지사와 만남 또는 통화 등으로 친분을 유지한 사례를 인정했지만, 결과적으로 금품 제공 여부와 관련해서는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경찰은 이에 따라 휴대전화 포렌식 등 첨단 수사 기법을 동원해 김 지사와 체육계 인사들의 금품 거래 의혹을 추적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결정적인 금품 공여 및 수수 행위는 밝혀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경찰 안팎에서는 김 지사와 체육계 인사들의 금품 거래 의혹을 추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정황 근거를 토대로 조만간 김 지사를 검찰에 불구속 송치할 가능성이 보인다.
이런 가운데 경찰의 검찰 송치 이후 김 지사 측과 검경 간 치열한 법리 다툼을 벌일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김 지사와 체육계 인사, 경찰이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면서 내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어떤 영향을 불러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 지사는 현재 오송 참사와 관련한 중대재해처벌등에관한법률 논란에 따른 국회 위증 여부 등에 봉착했지만,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하지 못할 결정적인 범죄 혐의는 아직 없는 상태다. 이 과정에서 김 지사의 돈봉투 의혹이 검찰 기소를 통해 재판에 넘겨질 경우 국민의힘 윤리규정에 따라 '당원권 3년 정지' 처벌받는 시나리오가 최대 변수다.
이와 관련 지역 법조계 관계자는 "경찰 수사로 김 지사와 체육계 인사 3명의 금품 거래 의혹이 어느 정도 윤곽을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현재까지는 단순한 정황 근거가 아닌 실질적으로 혐의를 입증할 수 있는 명확한 증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경우 검찰의 보강수사 이후 법원 재판 과정에서 사실관계가 명확해질 수 있지만, 문제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여부가 달려 있어 양측간 치열한 법정 공방을 예고하고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