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데이터와 엔비디아 플랫폼 결합해 차세대 기술 선점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등 신규 사업 협력도 추진
| 
 | 
31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생태계에 합류해 로보틱스·AI 인프라 분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양사는 피지컬AI, 스마트팩토리, AI 데이터센터 등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 영역에서 시너지를 낼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모색 중이다.
LG전자는 엔비디아의 범용 휴머노이드 추론모델 '아이작 GR00T(Isaac GR00T)'를 통해 자체 피지컬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학습용 데이터 생성 및 시뮬레이션 과정에 엔비디아의 로보틱스 개발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다. 두 회사는 고품질 학습 데이터 확보와 강화학습 기반 로봇 학습 모델 공동 연구를 통해 AI 로보틱스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LG전자가 가정, 모빌리티, 산업 현장 등에서 축적한 방대한 데이터는 피지컬AI 고도화의 핵심 자원으로 쓰인다. 이를 통해 로봇이 물리적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학습하는 자율지능 수준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팩토리와 디지털트윈 분야에서도 협력이 이어진다. LG전자는 엔비디아의 산업용 AI 기반 디지털트윈 플랫폼 '옴니버스'와 '오픈USD'를 활용해 글로벌 생산거점에 디지털 트윈 기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최신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GPU'를 활용해 공장 단위부터 설비 단위까지 초정밀 가상 검증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LG전자는 이 시스템을 통해 생산 라인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고 병목과 불량을 사전 감지해 공정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AI 기반 비전 검사와 예측 유지보수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제조라인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양사 협력은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분야로도 확장된다. LG전자는 액체냉각 방식의 핵심 장치인 CDU(냉각수분배장치)에 대한 엔비디아 인증을 추진 중이다. 냉각수 순환을 통한 발열 제어와 전력 절감 기술로 AI 데이터센터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LG전자는 냉각솔루션 외에도 열회수 시스템, 고효율 직류(DC) 전력 솔루션 등 친환경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엔비디아와 AI 데이터센터 사업 기회를 공동 모색할 방침이다.
유우진 LG전자 CSO부문 오픈이노베이션 태스크 상무는 "AI 선도기업인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피지컬AI·디지털트윈 분야에서 미래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사진2] 엔비디아 AI 플랫폼을 통해 구축한 LG전자 디지털트윈 솔루션](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0m/31d/202510310100231930013965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