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옥천서 일제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30만 동학농민군 재조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2010000291

글자크기

닫기

김동민 기자

승인 : 2025. 11. 02. 13:47

'제1회 동학농민혁명 청산 총기 포령 기념 축제' 개최
동학농민군이 지향했던 평등사회, 정의 조명한 기념사업
KakaoTalk_20251101_160303749_03
의암 손병희 선생 계승사업회와 충북연구원 등이 개최한 제1회 청산 총기 포령 기념축제에서 각계 전문가들이 토론회를 통해 지속적인 계승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옥천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130년 전 전국 곳곳에서 활활 타오른 동학농민혁명 제1회 청산 총기 포령 기념 축제가 지난 1일 충북 옥천군 청산면 일원에서 열려 옥천 농민운동을 재조명하기 위한 각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일 옥천군에 따르면 '제1회 동학농민혁명 청산 총기 포령 기념 축제'가 의암 손병희 선생 계승 사업회, 옥천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충북연구원 공동 주최로 청산면 주민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온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옥천군 청산면 일원에서 개최됐다.

옥천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에서 주관한 1부는 오전 10시부터 청산면 문바위골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총기 포령 재현, 진혼제(고사, 씻김굿), 도종환 전 장관의 강연회 순으로 진행해 보국안민을 위해 일제에 맞서 싸우다 순국한 30만여 명의 동학농민군의 영령들을 달랬다.

이어 오후 2시부터 청산면 다목적 회관에서 '충북 일대 동학농민군 봉기와 항일투쟁' 주제로 신영우 충북대학교 명예교수의 주제 발표에 이어, 김양식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소장이 좌장을 맡아 성주현 경희대학교 평생교육원 교수, 이안재 옥천 향토 전시관 관장, 임기현 충북연구원 연구위원, 정선원 동학농민전쟁우금티기념사업회 이사와 참석자들의 열띤 토론으로 오후 4시 이후까지 이어졌다.

신영우 교수는 이날 주제 발표에서 "동학농민군이 지향했던 평등사회, 정의 사회 등 여러 가치체계는 20세기를 넘어 오늘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동학농민혁명의 주요 모습에 대해 "혁신 지식인과 농민층을 결합한 실천 운동, 신분제 부정논리와 투쟁, 여성과 어린이 인권 강조, 유무상자(有無相資)의 서로 돕는 세상 지향, 비천한 계층에 대한 지원, 농민들의 자발적인 봉기 참여, 집강소의 민주 체제 경험, 무능·부패한 지배체제에 대한 항쟁, 외세 침략에 대한 경계와 전국에 걸친 대규모 반침략 전쟁"이며 "이는 한국 사회의 비약적인 발전의 저변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KakaoTalk_20251101_112348734_03
충북 옥천군 청산면 주민들이 제1회 동학농민혁명 청산 총기 포령을 맞아 기념 축제를 벌이고 있다./옥천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토론자로 나선 성주현 경희대 평생교육원 교수는 타지역 사례를 들며 "충북도는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조례 및 유적지 활용 방안이 부족하다"며 "도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안재 옥천 향토 전시관 관장은 "동학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민중들의 열망을 반영한 것"이며 "동학 교단의 중심이었던 보은과 옥천, 청산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당시 주요 전투지로 꼽힐 수 있는 곳들을 연결한 지역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임기현 충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총기 포령 기념 축제와 동시에 연극, 공연 등을 통해 동학농민혁명의 위상을 확고히 정립하고, 총기 포령이 갖는 역사적 의미가 충분히 조명돼 도민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해 나간다면 기념 축제가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선원 동학농민전쟁우금티기념사업회 이사는 "옥천이 청산 기포의 고향으로 역사적 의미 있는 곳"이라며 "이를 옥천의 동학농민혁명을 기리는 기념사업에 잘 활용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김동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