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최근 5년간 물놀이 사고로 사망한 전국 초·중·고 학생이 51명에 달하며, 이 중 40%는 수영이 미숙한 학생이었다"며 "생존수영이 의무화된 지 수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아이들이 물속에서 살아남을 힘을 기르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연 10시간 단체수업' 중심의 형식적 운영이 문제"라며 "교육청은 단순히 '이수 시간'을 관리할 뿐, 실제 생존 능력을 평가하는 체계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는 형식이 아닌 실질 중심의 평가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농산어촌과 도서 지역 학생들의 교육 여건 격차를 언급하며 "교육청은 인근 수영장 및 이동식 수영교실을 통해 운영 중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수영장까지 버스로 왕복 한 시간이 넘는 곳이 많고, 이동식 교실은 간이 풀장에서 잠시 물에 들어가는 수준에 불과하다"며 "이것은 교육이 아니라 단순 행정처리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도시 학생은 정규 수영장에서, 농산어촌 학생은 이동식 교실로 대체되는 현실은 단순한 교육격차가 아니라 '안전격차이자 생명격차'"라고 지적하며, "'생존수영' 대신 '전남 생존기술수영'이나 '생명수영' 등 전남형 명칭을 도입해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박재현 체육건강과장은 "학교 현장에서 '생존수영'이라는 단어가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져, 보다 포괄적이고 친숙한 생활수영 중심 교육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수영장이 없는 지역 학생들에게도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 이동식 수영교실을 거점학교 방식으로 운영하고, 일정한 수심이 유지되도록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끝으로 "전남이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수상환경 교육 지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전남형 생존기술수영'이 그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