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34% "원하는 일자리 없어서"
5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22만명으로 전년보다 9000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생산 가능 연령 인구 중 취업자가 아니면서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한다.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은 35.4%로 0.2%포인트(p) 하락했다. 활동 상태별로 보면 가사(36.9%), 재학·수강 등(20.2%), 쉬었음(16.3%) 등 순이었다. 이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264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7만3000명 늘었다. '쉬었음' 인구는 2022년 223만9000명에서 2023년 232만2000명, 2024년 256만7000명 이어 올해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쉬었음' 인구를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21만8000명)이 4만명 늘었고 60대(95만1000명)와 30대(32만8000명)도 각각 1만9000명 증가했다. 20대(43만5000명)는 3000명 감소했다. '쉬었음'의 이유는 연령별로 달랐다. 15∼29세 청년층은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라는 응답이 34.1%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일거리)가 없어서'라는 이유도 9.9%를 차지했다. 반면 60세 이상은 '몸이 좋지 않아서'(38.5%),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34.0%)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1년 안에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30만1000명(20.4%)으로 1년 전보다 0.3%p 줄었다. 취업·창업 희망 이유는 생활비·용돈을 벌려고(75.3%), 자기계발· 자아발전을 위해(17.1%), 지식이나 기술 활용(4.0%) 순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