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작품 만지고 구매까지…다이브인 “숙박공간서 예술 유통”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6010003222

글자크기

닫기

김민주 기자

승인 : 2025. 11. 07. 08:00

호텔 객실에 예술 쇼룸형 스테이 구현
예술가엔 저작권료 형태로 수익 지급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문화 격차를 줄이고 새로운 일자리 및 수요를 만들어 예술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지원 기관이 있다. 2023년 개관 이후 1년 만에 5만7000여명의 예술인(단체)·예술기업이 이용하며 융합예술 플랫폼으로 자리 잡은 아트코리아랩이다. 매년 20여개 스타트업과 30여개 기업의 창·제작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해 입주기업 투자유치액이 130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이곳에서 아트테크 스타트업들이 예술의 일상화를 꿈꾸며 미래를 실험하고 있다.

clip20251106154539

다이브인그룹 정창윤 대표가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아시아투데이와 인터뷰하고 있다./사진=김민주 기자
"갤러리에서 바라만 보던 예술 작품을 스테이 객실에서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쇼룸과 숙박의 경계를 허물었습니다. 머무르는 공간에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 예술의 일상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정창윤 다이브인그룹 대표는 최근 서울 종로구 아트코리아랩에서 진행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공간 기반 유통 서비스 '아트스테이'를 통해 소비자는 작품을 경험한 뒤 직접 구매할 수 있고, 아티스트는 저작권료 형태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대표는 "예술 작품이나 콘텐츠를 가진 분들은 공간과 매칭하길 원하고, 공간을 가진 분들은 정기적 수입을 원한다"며 "아티스트의 경우 갤러리도 있고 작업실도 있지만 내 작품이 누구에게 팔리는지 잘 알 수 없으며 작업실에 고객이 오는 경우도 거의 없었다"고 아트스테이에 뛰어든 이유를 설명했다.

다이브인은 모든 것을 한 공간에 모은 오프라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 에어비앤비를 세팅했다. 정 대표는 "침구류를 뺀 뒤 도마와 커틀러리, 테이블 등 모두 아트워크로 세팅했다"며 "스테이로 운영하면 이용자는 숙박을 목적으로도 방문할 수 있고, 쇼룸과 갤러리를 따로 차릴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해 호텔 사업이 가장 힘든 시기를 보냈지만, 정 대표는 위기를 기회로 바꿨다. 그는 "코로나 당시 대기업을 제외한 로컬 호텔이 폐업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때 인사동의 한 호텔에서 사용하지 않는 객실 세 개를 렌트했다"며 "세 명의 아티스트와 각각의 객실에 콜라보를 진행했다"고 회상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비즈니스호텔 특성상 기존 고객 연령층이 40대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다이브인의 콜라보 이후 2~30대 고객이 늘었으며 객실점유율도 30% 가량 높아졌다. 객실 속 작품 역시 3개월 안에 모두 판매됐다.

이처럼 다이브인은 객실을 아트스테이로 탈바꿈해 공간 하나를 쇼룸과 갤러리 두 가지로 활용했다. 소비자는 작품을 직접 사용해보고 바로 구매할 수 있고, 작가도 작품이 판매되면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 소비자와 작가 모두가 만족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진 것이다.

작가들의 IP로 공간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하는 것이 아트스테이의 핵심이다. 정 대표는 "작가님이 가진 표현 방식, 색감, 캐릭터 등을 공간에 어떻게 더할지가 중요하다"며 "보통 작가님들은 유화 작업을 하는데, 벽에 직접 칠할 수 없기에 페인트 스크리닝 작업도 하고, 도장과 전기도 전문가들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호텔과의 소통, 협력도 중요하다. 정 대표는 "객실을 한번 세팅하면 최소 1년을 유지하므로 관리가 중요하다"며 "호텔과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지 자주 소통하고, 벽지나 카펫도 호텔마다 컨디션이 다르기 때문에 디테일한 부분에도 신경을 많이 쓴다"고 강조했다.

다이브인은 모로코, 베트남 등 해외에서도 아트스테이를 운영 중이다. 우연한 기회에 모로코와 베트남의 호텔 관계자들과 인연이 닿아 바로 현지에 방문해 일사천리로 계약과 공사를 진행했다는 정 대표는 "해외 아트스테이 사업도 현재 잘 되고 있어 앞으로 동남아 지역으로 더 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 3월에는 방콕 아트스테이도 오픈할 예정이다.

해외 출장이 잦아지며 아트코리아랩에 대한 감사함이 더욱 커졌다. 정창윤 대표는 "해외 진출 과정에서 다이브인이 공공기관의 울타리 안에 있다는 것이 굉장히 큰 의미였다"며 "외국인들은 서울 외에 한국의 다른 지역은 다 모르는데, 한국의 예술경영지원센터라는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곳에 입주해있다고 말하면 신뢰도가 생긴다"고 말했다.

사업을 점차 다각화시키며 집중이 잘 안된다고 느껴질 땐 아트코리아랩 비즈센터의 컨설팅을 통해 해결책을 찾았다. 정 대표는 "컨설팅을 통해 스타트업을 운영하며 '걸러내는 작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며 "특히 마케팅쪽에서 어떤 것을 걸러내야 할지, 굳이 안 해도 되는 것이 무엇인지 피드백을 받고 재정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아트코리아랩 사옥 내에서 자유롭게 시제품 개발 테스트를 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다. 아트코리아랩 지원으로 열 전사 패브릭, 3D 프린트 등 다양한 작업을 비용을 들이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 대표는 "회화 작가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공예 등 다른 재료로 작품을 만드는 분들이 많은데, 아트코리아랩 덕에 제품을 바로 시각화 할 수 있다"고 감사를 표했다.

다이브인그룹의 최종 목표는 공간을 베이스로 한 유통사가 되는 것이다. 정 대표는 "소비자들이 백화점에 방문하는 대신 아트스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글로벌 쇼룸 유통사가 되고 싶다"며 "단순히 호텔을 운영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해외 진출을 바라는 작가님들과 함께 위워크 같은 아트스테이를 만들어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민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