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LG전자가 발표한 올 3분기 영업이익은 68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 감소했다. 부문별로 보면 백색가전 3659억원, MS(TV·음향·PC) -3026억원, 차량용 부품 1496억원, 냉난방공조기 1329억원, 독립·기타사업부 1324억원 등이다.
박형우 SK증권 연구원은 "독립사업부는 스마트팩토리(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자동화 공장) 장비와 로열티 매출로 1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고, 주요 사업부들 및 자회사도 선방했다"며 "MS사업부는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약 1000억원) 반영으로 영업 적자가 전 분기 대비 커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4분기는 적자전환이 예상되는데 연결 기준 영업손익은 -820억원, 자회사 LG이노텍을 제외할 경우 -4192억원으로 추산한다"며 "희망퇴직이 MS사업부에서 전 사업부로 확대됨에 따라 관련 비용이 30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 관세 본격화 △글로벌 수요 위축 △유통 재고 부담 등이 4분기 중 모두 작용한다"며 "세트(완제품) 사업부들 중심으로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고 계절적 비수기 진입으로 실적 방어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LG전자는 AI에 기반해 중국 제조 회사들의 대안이 자기들임을 자본시장에 증명해야 한다"며 "미래에는 가전제품도 AI에 연동되는 만큼, 매년 팔리고 있는 수억대의 LG전자 판매량과 누적 사용자들이 LG의 최대 자산"이라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