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전시, 2차 공공기관이전 TF 본격가동… 혁신도시 조성 박차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0010004622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11. 10. 10:19

대전시청 전경.
대전시청 전경.
대전시가 공공기관 유치 및 혁신도시 조성을 위한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대전시는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차 공공기관 이전대응 TF'를 구성하고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선다고 10일 밝혔다.

TF는 행정자치국장을 단장으로 우선 출범하며, 12월부터는 실장급 단장 체제로 전환된다. 균형발전과, 도시재생과, 전략산업정책과, 정책기획관, 대외협력본부, 대변인실 등 유관 부서와 대전연구원이 참여해 공공기관 이전 업무를 전담하게 된다.

TF의 주요 기능은 △유치 대상 기관 재정비 △유치 전략 고도화 △기관 방문 및 MOU 체결 △공공기관 우선 배치 촉구 △범시민유치위원회 구성 및 홍보 등이다.

이번 조직 구성은 정부가 지난 8월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추진 일정을 공식화한 데 따른 조치로, 정부 일정에 맞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목표로 한다.

시는 TF 출범과 동시에 기존 유치 대상 39개 기관을 재검토하고, 수도권 내 이전이 가능한 기관을 추가로 분석해 유치 대상 기관을 재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기준은 지역 산업 연계성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중대형급 기관으로 설정한다.

대전시는 이를 토대로 공공기관 유치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혁신도시의 입지 여건·생활 환경·인프라 강점을 강조한 전략적 홍보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또한 기관 방문을 통해 MOU를 체결하고, 이를 향후 국회 및 정부 대응자료로 활용한다.

시민 공감대 형성과 여론 확산을 위해 시 홈페이지, SNS, 언론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공공기관 유치 필요성과 혁신도시 조성의 당위성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1차 지방 이전에서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돼 불이익을 겪은 점을 감안해 지역 정치권 및 시민사회와 연대해 정부에 우선 배치를 강력히 촉구한다.

향후 정부의 추진 상황에 따라 관·학·경제계,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범시민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민·관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2차 공공기관 이전은 대전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중요한 기회"라며 "TF를 중심으로 전 부서가 긴밀히 협력해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대전의 강점을 적극 살려 혁신도시 조성과 공공기관 유치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