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행정부, 식품물가 잡기 위해 ‘관세 대폭 면제’ 검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4010007736

글자크기

닫기

남미경 기자

승인 : 2025. 11. 14. 16:54

소고기·감귤 등 소비 비중 큰 품목
축산업계 반발 속 물가 압박 영향
화면 캡처 2025-11-14 162101
미국산 소고기 /AFP 연합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치솟는 식료품 물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일부 농산물과 식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13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정부가 특정 식품 가격 안정에 초점을 맞춘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의 일부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아직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에서 수입되는 품목도 일정 부분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고기, 감귤류 등 미국 내 소비 비중이 큰 품목들이 면제 검토 대상에 오를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을 내리지는 않은 상태다.

문제는 소고기다. 소고기 수입이 확대될 경우 자국 생산을 중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철학과 배치된다는 이유로 미국 축산업계는 강하게 반대해왔다. 관세 완화가 트럼프 행정부 핵심 지지층의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그럼에도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높은 식료품 물가가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키는 만큼 관세 인하 또는 면제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검토안은 지난 9월 행정명령에서 제시된 관세 완화 범위보다 더 넓은 대상 품목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9월 행정명령은 미국 내 생산이 어렵고, 미국이 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로부터 들여오는 제품을 중심으로 1000여 개 품목의 관세 면제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무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한 바 있다. 당시 목록에는 금속·광물·항공기 부품뿐 아니라 커피·파인애플·아보카도·바닐라빈 등 주요 농산물이 포함됐다.

만약 새 관세 면제가 시행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가격 안정 우선' 기조가 기존의 보호무역적 접근보다 앞서게 되는 셈이다. NYT는 "장바구니 물가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는 트럼프 경제정책의 일부 후퇴로 해석될 수 있다"고 전했다.

실제 미국에서 식품 가격 상승세는 뚜렷하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지난 9월 기준 전년 대비 약 19% 오르며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소비자신뢰지수 역시 관세 부담과 물가 상승 우려로 지난 8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해 10월에는 94.6을 기록했다.

최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생활비 부담'을 핵심 메시지로 승부한 끝에 유리한 결과를 거둔 점도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정책 조정 논의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남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