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알 경북도에 따르면 'AI 스마트 돌봄 로봇 상용화'를 목표로 △AI 스마트 돌봄 로봇 시범 보급 사업 △AI 돌봄 혁신 국가 공모사업 유치 △AI 스마트 돌봄 신속 실증 지역 거점 조성 등을 추진한다.
이에 'AI 스마트 돌봄 로봇 시범 보급 사업' 추진을 위해 내년부터 도는 10억원을 투입해 아동 돌봄 시설 10곳에 안전, 교육, 보건 3대 분야에 AI 기반 돌봄 로봇 100여 대를 보급한다. 현장 돌봄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 AI와 로봇을 활용해 돌봄, 교육과 AS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국가 공모사업 유치'를 위해선 'AI 돌봄 국책 연구기관, 공공기관, 대학, 기업 등 AI·로봇 전문가들로 구성된 'AI 스마트 돌봄 경북협의체'를 구성해 정책 기획, 프로젝트 발굴, 공모사업 대응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24일 공무원, 공공기관, 돌봄 시설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도청에서 AI 스마트 돌봄 전문가 릴레이 특강을 진행한다.
경북도는 'AI 스마트 돌봄 신규 사업 발굴'을 위해 AI 스마트 돌봄 인간 중심의 돌봄과 기술 중심의 로봇이 결합하는 실증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 거점형 AI 돌봄 데이터 허브 구축, AI 돌봄 제품 신속 개발 및 사업화 지원, AI 돌봄 서비스 신속 실증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키로 하고 지난 달부터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저출생, 고령화, 인구 축소 등 인구 위기에 돌봄 인력 부족이 가장 큰 문제"라며 "AI 등 첨단기술을 돌봄에 결합해 일손 부족을 덜고 AI 스마트 돌봄 서비스가 일상화될 수 있도록 공공에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저출생과의 전쟁'이 '인구 국가 비상사태 선언'에 이어 APEC에서 '인구 구조 변화 대응 공동 체계' 채택까지 연결되는 등 인구 위기를 글로벌 의제로 확산시켰다. AI와 로봇 등 첨단기술과 돌봄을 결합한 스마트 돌봄은 인구 위기 대응과 도민들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경북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 성과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