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 시대, 제조기업 3중고 빠졌다…“맞춤형 정책 지원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8010009487

글자크기

닫기

김아련 기자

승인 : 2025. 11. 18. 17:53

제조기업 82% "AI 활용은 아직"
대기업보다 중소기업 활용도 낮아
clip20251118155903
제조기업 AI전환 자금 실태 조사결과./대한상의
제조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AI) 전환이 기업의 미래 생사를 가늠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실제로는 자금·인재·효과성 등이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8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K-성장 시리즈(7) 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82.3%는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대기업(49.2%)보다 중소기업의 활용도(4.2%)가 크게 떨어졌다.

AI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을 묻는 질문에는 기업의 73.6%가 '부담이 된다'고 응답했다. AI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규모별 부담 수준도 대기업(57.1%)보다 중소기업(79.7%)이 높았다.

실제로 대구의 한 제조업체는 "생산공정만 AI로 전환하려 해도 라벨·센서 부착, CCTV 설치, 데이터 정제뿐 아니라 이를 기획·활용하기 위한 비용, 로봇 운영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 구축, 관련 인력 투입 등 예상하지 못한 자금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데이터 활용과 관련해서는 응답 기업의 49.2%가 '전문인력 채용 부담'을 꼽았다. AI 전환 수요가 늘면서 '인재 구하기'는 더 어려워지고 있다. 'AI 활용을 위한 전문인력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80.7%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에 AI 전환을 통한 기업 성장을 위해 먼저 '역량에 맞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대한상의는 지적했다. AI 활용도가 높은 기업에게는 일률적 프로그램 지원보다 자사 전략에 따라 유연하게 정책 지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GPU·클라우드 인프라 지원, 데이터 접근성 강화 등 지원책에 대해 용처를 세세하게 제한하기보다는 기업이 자체 프로젝트에 맞게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효과적이라는 뜻이다.

자동차업계 전문가들 역시 AI나 자율주행 관련 정책들이 선도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오히려 기업의 기술이 앞서는 경우가 우리나라 많이 발견되고 있다"며 "중국이나 테슬라, 웨이모 등과 달리 우리나라는 운행 자체가 불법인데, 정부 차원에서 전문성을 겸비한 담당자를 선정해 제도를 선도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모델 공장, 솔루션 보급 등 제조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더불어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라는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아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