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서울 중구 소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 영업점 현장을 방문해 오픈뱅킹 서비스와 마이데이터 서비스 시연에 참여하고 현장 직원들을 격려했다. 현장 점검에는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정상혁 신한은행장을 비롯한 시중 및 지방은행의 부행장들도 함께 했다.
오픈뱅킹은 개방형 금융결제 플랫폼으로 하나의 은행에서 다른 은행 계좌를 조회·이체할 수 있다. 마이데이터는 개인의 금융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다. 기존 제도와 전산에 한계로 온라인으로만 제공이 가능했으나, 개선을 통해 대면으로까지 서비스를 확대했다.
신분증을 지참해 은행 영업점에 방문하면 직원 안내에 따라 해당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 현장 시연에서는 신한은행 영업점에서 전북은행에 있는 돈을 우리은행 계좌로 옮기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번 확대로 고령층 등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이 여러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타행 계좌에 대한 동일한 거래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또 영업점을 줄이고 있는 시장 상황에서 주거래 은행이 폐쇄되는 지역의 거주자들도 근처의 타 은행에서 주거래 은행 관련 업무를 볼 수 있게 됐다. 금융 서비스 접근성과 지역 간 금융소외 문제를 완화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권 부위원장은 "비대면을 넘어 대면까지 가는 하이브리드 고객 채널이 완성되는 의미가 있고, 확인을 넘어 이체가 가능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며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시스템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이어 "이번 확대의 강조점인 소상공인과 고령층의 접근성은 물론, 계좌 연동을 통한 안정적인 자산 관리 부분에서도 순기능이 생기는 등 소비자 이익이 최우선되는 시스템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픈뱅킹 서비스에는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아이엠뱅크,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총 11개 은행에서 이용 가능하며 제주은행은 2026년 상반기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기업은행 8개 은행에서 이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