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한전의 뿌리, 대구였다…대흥전기 120년 사료 번역 공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0010010520

글자크기

닫기

대구 배철완 기자

승인 : 2025. 11. 20. 10:56

대구는 한국의 전력산업 발달사에 중요한 모체
일제강점기 전력산업, 대구 도시·경제사 중요자료
[붙임]_대흥전기주식회사_본사_전경
대흥전기주식회사 본사 전경./대구시
대구시는 일제강점기 지역 전력산업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담은 '대흥전기주식회사 연혁사와 발달사'의 국문 번역본을 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다고 20일 밝혔다.

대흥전기주식회사는 1911년 설립된 대구전기와 1917년 함흥전기가 1918년 합병해 출범한 전기회사로, 이후 6개 전기회사를 통합하며 남선합동전기로 이어진 한국 전력산업의 중요한 모체다.

특히 이 회사는 당시 고미술품을 대거 수집해 일본으로 반출한 것으로 알려진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1945년까지 경영을 맡았던 곳으로 주목된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1934년 발간된 '대흥전기주식회사 발달사'와 1939년의 '대흥전기주식회사 연혁사'로, 120여 년에 걸친 대구 전력산업의 이면과 도시 성장의 배경을 담고 있다.

전기
대구변전소와 대구수전소, 가로등이 켜진 북성로의 야경./대구시
문헌에서는 대구를 '조선의 나고야'로 표현하며 정치·경제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강조하고, 당시 시가지가 '현재의 5~6배로 확장될 도시'로 평가될 만큼 전력 수요와 성장 잠재력이 높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전력산업이 도시와 지방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때 장기적 이익과 공동 번영을 이룰 수 있다는 기업 측의 시각도 드러난다.

책임 번역자인 배재대학교 오진석 교수는 "대흥전기의 기업사와 일제강점기 전력산업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라고 평가했다.

대구시는 그동안 대구부읍지, 대구민단사 등 지역 역사 자료의 번역을 지속해 왔으며, 공개된 자료는 온라인 검증을 거쳐 '대구사료총서'로 발간될 예정이다.

이재성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대구의 산업·도시 구조 변화를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며 시민과 연구자들의 관심을 요청했다.
배철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