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한 시중은행의 서울 지점(출장소 포함) 283개 중 강남구에 위치한 점포는 55개로 19.4%를 차지했습니다. 여기에 서초구(21개), 송파구(16개)를 더하면 강남 3구의 지점 비중은 무려 32.5%에 달합니다. 반면 강북구는 4개, 도봉구와 중랑구는 각각 5개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이는 다른 시중은행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로 4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의 강남 3구 지점 비중 역시 30%를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은행들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입장입니다. 금융거래 패러다임이 비대면 중심으로 넘어가면서, 비이자이익을 창출하는 금융상품 판매 등 '자산관리(WM)'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영업 효율을 위해 자연스럽게 고소득층 밀집 지역 중심으로 지점을 유지하는 전략을 선택했다는 설명입니다.
정부는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 우체국망을 활용하는 '은행대리업'과 하나의 은행에서 타 은행 계좌를 조회·이체할 수 있는 오픈뱅킹 서비스를 대안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오픈뱅킹의 경우 그동안 비대면에서만 이용이 가능했지만, 이제 일반 영업점에서도 활용이 가능해졌죠.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iM뱅크,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등 11개 은행이 동참한 만큼, 접근성 개선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지점 자체가 부족한 소외 지역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서울조차 자치구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지방은 더욱 심각한 상황임을 예상할 수 있죠.
이에 은행은 공공성이 있는 만큼, 비용 측면으로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비용과 효율성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금융 접근성 개선 또한 점포 재배치 전락에 포함 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오픈뱅킹 등 제도적인 뒷받침도 이뤄진 만큼, 취약지역에 대한 점포·출장소 등을 은행권 공동으로 출점하는 방식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습니다.
포용금융은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도 포용금융 확산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은행들의 사고의 전환을 기대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