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그룹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전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상속소송에 대해) 고소를 하면 끝까지 (맞)고소를 하고 헌법재판소까지 가는 한이 있어도 (CJ에게) 한푼도 내 줄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사실 이 회장의 이 같은 강한 어조는 이미 예견된 면이 없지 않았다.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와 재산 분배는 고(故) 이병철 창업주 시절 이미 완료된 사안이란 게 정설이다.
실제 이 회장도 이날 “선대 회장 때 벌써 다 분재(재산분배)가 됐고 각자 다 돈들을 갖고 있다”고 강조한 뒤 “CJ도 갖고 있는데 삼성이 너무 크다 보니까 욕심이 좀 나는 것”이라며 작심한 듯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현재까지 이병철 일가에서 이건희 회장을 상대로 상속분 청구 소송을 낸 집안은 장남인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과 차녀이자 이건희 회장의 누나인 이숙희 씨, 차남인 이창희 전 새한미디어 회장의 아들 이재찬 씨의 미망인 등 세 집안이다. 하지만 이 회장은 유독 CJ에게만 불편한 심기를 보였다. 이는 처음 소송을 낸 장본인이 이재현 CJ 회장의 부친인 이맹희씨인데다, CJ그룹이 전사적으로 소송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이 CJ를 명시해 ‘한 푼도 줄 수 없다’, ‘헌법재판소까지 가겠다’는 등의 다소 격앙된 톤으로 강하게 힐난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CJ그룹 고위 관계자는 “삼성 직원의 이재현 회장 미행 사건과 관련, 삼성측이 한마디의 사과도 없이 오히려 우리 측에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호도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언제까지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부적으로도 매우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CJ그룹관계자는 “이번 강경한 발언으로 건널수 없는 강을 건넌게 아니냐”면서 소송전이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에 대해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 회장의 언급은 이미 선대 회장 때부터 경영권 승계와 재산 분배에 대해 형제간 합의가 끝난 부분을 강조한 것으로 이와 관련된 명확한 증거를 갖고 있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소송과 관련해 일체이 합의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실제 이병철 회장은 자서전 '호암자전'에서 3남 이건희 회장으로 후계구도를 정한 이유와 재산분배에 대해 설명했다.
이병철 회장은 자서전에서 “3남(이건희) 자신도 통합경영에 뜻을 두고 성의껏 노력하고 있으므로 삼성의 경영을 3남에게 계승시키기로 했다”며 “이런 방침아래 70년대 초에 이미 모든 법적·제도적 절차를 끝내고 그런 방향으로 체제를 굳혀왔다”고 서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