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박근혜 “북한 도발 강력 대응, 중국 역할 중요” 오바마 “사드, 대북 방어체제”

박근혜 “북한 도발 강력 대응, 중국 역할 중요” 오바마 “사드, 대북 방어체제”

기사승인 2016. 09. 06. 21:03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한미정상회담, 공동 언론발표 '대북 강력 경고'...박 대통령 "북핵 해결 중국 역할 중요, 한미 중국과 계속 소통"...사드 배치, 한미중 논의 탄력 주목...오바마 "북한에 대한 어떤 공격적 생각 없어"
한·미 정상 악수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리는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 앞서 악수 인사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한·미 두 나라는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모든 수단을 다해 강력히 대응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은 “북한은 어제 또 노동미사일을 발사했는데 이와 같이 무모한 도발을 지속하는 것은 자멸을 초래하는 길임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라오스 비엔티안 랜드마크 호텔에서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마친 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두 정상은 당초 예정된 30분을 넘겨 50분 동안 회담을 진행했다.

두 정상은 지난 7월 초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주한미군 배치를 한미 정부가 발표한 후 처음 머리를 맞댔다.

박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사드 배치를 포함한 연합 방위력 증강과 확장 억제를 통해 강력한 억지력을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대북 제재의 효과적 이행이나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해 한·미 두 나라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중국 측과도 계속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은 통일을 향한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면서 “통일은 북한 주민도 동등하게 대우받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사드는 순수한 방어 체제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은 한국의 대북 방어에 대한 지지를 분명히 밝히고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중국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주최하는 와중에도 북한은 미사일을 쐈다”면서 “이런 발사는 도발적이고 북한의 국제 의무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계속적인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면서 “북한의 도발은 한국의 위협일 뿐 아니라 동맹국과 미국에 대한 위협”이라고 밝혔다.

또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는 공격적이거나 북한에 대해 어떠한 공격적 생각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고 분명히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는 평화를 원한다”면서 “그렇지만 북한의 현 행동은 대화에 도움이 되는 행동이 아니다. 미국이 선호하는 행동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러한 언급은 북한이 핵무기 개발과 미사일 무력 도발을 내려 놓고 진정성 있게 대화와 평화에 나선다면 적극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기존 대북 정책을 다시 한번 밝히면서 북한이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 기자회견 발표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두 정상은 이날 북한이 지난 5일 한중 정상회담 직후를 겨냥해 보란 듯이 탄도미사일 3발을 발사하는 도발을 포함해 최근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시험 발사 등 잇단 핵무기·미사일 위협을 하는 것에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와 함께 한미 연합 억지력을 유지해 나가겠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약했다.

특히 두 정상은 북핵·북한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과도 계속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이 5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에 전격 제안했던 사드 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미·중 논의가 어떤 식으로든 향후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