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급 확대·충전 인프라 확충 본격화
전용 플랫폼 구축·부품 국산화 통해 가성비↑
'내연기관차→친환경차 수출 강국' 도약 목표
|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을 확정했다. 친환경차 기본계획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산업부가 5년 단위로 수립·시행하는 기본계획이다. 이번 4차 계획은 지난 18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공개된 바 있다.
정부는 2030년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을 목표로 2025년까지 친환경차 283만대, 2030년까지 785만대 보급을 추진한다. 공공기관이 친환경차를 100% 의무구매하도록 하고 렌터카·대기업 등 민간을 대상으로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충전 인프라도 확대한다. 2025년 전기차 보급 대수의 50% 수준인 50만기 이상으로 충전기를 늘리고 20분 충전으로 300㎞ 주행 가능한 초고속 충전기 보급을 본격화한다.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에 전 주기에 걸친 온실가스 평가를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28만대에서 2025년까지 83만대로 확대한다. 수출 비중도 14.6%에서 34.6%로 끌어올린다.
특히 600㎞ 이상의 주행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고체전지를 2030년까지 상용화하고 2025년까지 수소 상용차를 전 차급 출시하는 등 기술 혁신에 나선다. 아울러 정부는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2025년까지 500개, 2030년까지 1000개의 부품기업을 미래차로 전환한다.
산업부는 이번 4차 계획을 통해 내연기관차 수출 강국에서 친환경차 수출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2023년까지 물에서 추출한 그린수소와 온실가스로 생산한 그린메탄으로 청정연료 시대를 여는 한편 수소트램을 상용화해 도시 간 장거리 이동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기차는 휴대폰처럼 상시 생활충전이 가능해지고 1회 충전으로 전국 어디든지 안심하고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수소차는 교통 물류 거점을 중심으로 충전소를 대폭 확충하고 내구성은 2배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