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백신 불신’ 커질라 노심초사…전문가들 “‘백신 정치화’가 접종률 낮춰” 우려

‘백신 불신’ 커질라 노심초사…전문가들 “‘백신 정치화’가 접종률 낮춰” 우려

기사승인 2021. 02. 23. 21:0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발언하는 문재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접종이 오는 26일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정부가 ‘백신 불안감’을 불식을 위해 애를 쓰고 있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미루겠다는 여론이 우세한 조사 결과도 나와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백신 불안감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1호 접종’을 해야 하는지를 두고 여야 공방이 가열되면서 오히려 정치권이 백신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백신 불신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정쟁은 멈추되 방역당국에 힘을 실어주는 초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백신 불안감’ 커졌나…‘접종 연기’ 응답 비율 45.7%

백신 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이달 중순까지만 해도 국민들의 백신 불안감은 그리 크지 않았다. 지난 16~18일 한국갤럽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 71%가 “접종 의향이 있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여기에 중앙방역대책본부도 최근 백신 접종 1차 대상자의 93.8%가 접종에 동의했다는 수치를 발표했다. 접종 거부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관련 집계를 공개했다.

이 때문에 정부도 문 대통령이나 정세균 국무총리가 불안감을 불식시킬 목적으로 선제 접종을 할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가 현재로서는 강하다. 정 총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현재로서는 순서를 기다려야 할 것 같다”며 “외국에 비해 (접종률이) 굉장히 높은 비율”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도 문 대통령의 접종과 관련해 “방침이 수정되지 않는다면 상황 변동은 없다”면서도 “국민적 불신이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며 ‘불안감 지우기’에 노력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 19~20일 성인 1020명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과 관련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순서가 와도 접종을 연기하고 상황을 지켜보겠다’ 45.7%, ‘순서가 오면 바로 접종하겠다’ 45.8%로 비슷했다. 백신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따라 향후 정부의 대응 방향도 달라질지 주목된다.

◇백신 접종 두고 정치권 논쟁 가열…전문가들 “언급 자체를 하지 말라”

향후 백신에 대한 여론이 어떻게 바뀔지는 예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최근 정치권의 ‘백신 정치화’가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야권이 최근 문 대통령이 선제 접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여당 의원이 “대통령이 실험 대상이냐”며 격한 반응을 보여 논쟁에 불이 붙은 모양새다.

하지만 감염학계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은 현재의 정치적 공방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이날 아시아투데이와의 통화에서 “(대통령 1호 접종과 같은) 이야기들을 정치권에서 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백신과 관련한 정치인들의 언급 자체가 접종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질병관리청에서 내려진 지침을 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는 “현재 백신 접종 참여율이 높은 상황에서 야당은 국민 공감이 떨어지는 지적들을 내놓고 있고 야당에선 ‘실험대상’ 등의 발언으로 잘못된 대응을 하고 있다”며 “오히려 과도한 이야기로 국민 불안감만 키우고 있어 최근 정치권 ‘나쁜 언쟁’의 대표적인 사례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 평론가는 “백신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을 바라지 않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65살 이상 접종 보류나 백신 수급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 등으로 국민적 동요가 있다면 대통령뿐만 아니라 여당은 물론 야당 지도부도 솔선수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