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삶의 안정·격차해소·산업고도화·안전현장 차기정부 4대 건설정책 이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11109010005492

글자크기

닫기

박지숙 기자

승인 : 2021. 11. 09. 13:00

건산연 '새 정부의 정책 과제' 발간
4대 건설 정책 이슈와 이를 위한 33개 과제 제안
국가 경제 성장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건설산업 차원의 고민 담아
건산연1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차기 정부의 건설정책 이슈로 △국민 삶의 질 안정 △격차 해소 △산업 고도화 △‘안전한 인프라와 현장 등 4가지를 선정했다.

9일 건산연은 ‘새 정부의 정책 과제’를 발간하고 4가지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33가지 과제를 제안했다.

국민 삶의 질 안정과 관련해선, ‘주택과 인프라 등의 시설 공급과 관련 제도 혁신’을 강조했다. △국민 모두의 주거 안정 △쾌적하고 편리한 일상을 위한 환경 조성 등 두 가지 영역에서 6개 과제를 제시했다.

건산연은 “차기 정부는 소득수준, 생애주기에 맞게 민간 및 공공 임대주택 공급과 정책지원을 통해 국민 삶의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며 “임차인·임대인 모두를 위한 임대차 제도를 강조, 현행 ‘임대차보호법’이 아니라 ‘임대차법’으로 법을 개정해 임대주택 공급이 지속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재 문제가 지적되고 있는 ‘임대차2법’의 경우 제도 운영을 위한 여건이 형성될 때까지 적용을 유예할 필요가 있다며 관련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격차 해소에 대해서는 ‘세대·지역·산업 내 격차 해소’에 초점을 두고 △내집 마련을 통한 자산형성 지원 △국민 모두가 누리는 인프라 △건설산업의 수직·수평적 격차 완화 등을 위한 10개의 과제를 마련했다. 건산연은 최근 들어 주택 공급 확대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그 속도가 느려 시장 신뢰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공공 주도 사업에 대한 주민 반대가 거세고 유휴지에서도 지자체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어 시장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공급 방식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관협력 분양 물량 확대,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주거상품 다양화, 대안형 분양상품 개발, 청약제도 개편 등의 과제를 제안했다.

산업 고도화는 ‘주거시설 및 인프라, 제도, 기술, 인력 등의 고도화’를 목표로 △주택·부동산 시장 기능 회복 및 고도화 △공공조달 혁신 △스마트 건설산업 육성 △건설산업의 스마트화 촉진을 위한 인적자원 투자 등을 위한 11개의 과제를 제안했다. 건산연은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요구되는 당면한 현안과 산업 내 저해 요인 및 발생 가능한 각종 이슈에 대응하는 가장 안정적 지원책인 관련 법령 및 제도 구축·정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스마트 건설 촉진법’ 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전한 인프라와 현장과 관련해선 ‘인프라와 건설현장의 안전확보를 통한 안전한 사회를 지원하는 대책’으로 △낡고 위험한 인프라에서 안전한 첨단 스마트 인프라로 △안전한 건설현장 구현 등을 위한 6개 과제를 제시했다. 2020년 기준 건설업 사고 사망자수는 458명으로 전산업 사망사고자의 51.9%를 차지, 산업 전체에서 가장 많다. 이에 건산연은 “건설안전사고에 따른 재해와 사고사망자수를 줄이는 과제는 정치적 관계를 떠나 차기 정부에서도 지속적으로 국정 과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석인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는 국가 경제 성장과 현재의 각종 사회 문제 등을 건설산업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한 각종 방안을 구상한 것”이라며 “보고서가 차기 정부 건설정책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박지숙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