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당 대표가 권한을 가진 만큼 내부 논의를 충분히 했든 안 했든, 충분히 다 논의하고 하는 일"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다만 사과 계획이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책임을 질지, 자신에 대한 사퇴 요구 등을 묻는 질문에는 답변을 하지 않았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도 이날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을 비난한 자신의 발언에 대해 "공당의 대변인으로서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천안함 장병과 유족들을 비롯해 마음의 상처를 받았을 모든 분들에게 깊은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앞서 권 수석대변인은 이 이사장의 혁신위원장 위촉 소식에 항의한 최 전 함장에 대해 "무슨 낯짝으로 그런 이야기를 했나", "부하들을 다 죽이고 어이가 없다" 등의 발언을 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에 최 전 함장이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식에서 이 대표에 권 수석대변인의 발언을 항의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민주당에서는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이번 사태와 관련 이 대표 책임론이 거세지고 퇴진 요구가 본격화하고 있다. 당의 위기 상황에서 쇄신을 위한 혁신 기구마저 시작부터 삐걱이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원장 인선이 다시 이뤄져 혁신위가 재출범하더라도 이 대표의 리더십에는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비명계인 김종민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재명 체제를 강화시키는 방향에서 혁신위를 구상한다면 이재명 체제가 근본적으로 계속 갈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시작될 것"이라며 "이 대표가 정말 심각한 결단이나 판단을 해야 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또 "만약 '강성 지지층하고만 같이 가겠다. 여론과 민심, 중도층 확장 이런 것들은 중요하지 않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당 내에 큰 문제가 생길 것"이라며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재명의 민주당'이 아니고 '국민의 민주당'으로 가야 된다. 이게 이번 혁신 논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