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여론조작에도 댓글 국적 표기 안하는 네이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1004010001165

글자크기

닫기

김윤희 기자

승인 : 2023. 10. 04. 19:02

해외 IP 2개서 조작 확인
한덕수 "범부처 TF 꾸려가짜뉴스 방지 입법 마련"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뉴스 댓글 작성자의 국적이 노출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다음 포털의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한중전 응원하기에서 VPN 접속과 매크로를 통해 중국을 90% 이상 응원하는 등 여론조작을 하는 사례가 나왔기 때문이다.

4일 카카오에 따르면 다음에서 응원하기 클릭 이상 현상이 발생해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아시안게임 축구 8강전 당시 10명 중 9명 이상이 중국을 응원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났다. 한중전 응원하기 약 3130만건 중 중국 응원이 2919만건(93.2%)에 달한 반면 한국 응원은 211만건(6.8%)에 불과했다.

다음 응원하기가 로그인 하지 않고도 횟수 제한없이 참여할 수 있는 점을 악용한 것으로 보인다. VPN으로 네덜란드와 일본으로 우회한 IP 2개가 매크로 프로그램을 활용해 응원하기를 조작했다. 이들 해외 IP 2개는 전체 해외 IP 클릭의 99.8%(1993만건)를 차지했다. 2개 IP의 클릭 비중은 네덜란드 79.4%(1539만건), 일본 20.6%(449만건)이었다. 해당 IP의 클릭은 경기가 끝난 2일 0시 30분쯤부터 이뤄졌다.

정부는 이번 여론 조작 의혹과 관련 범부처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방통위, 법무부, 과기부, 문체부 등 유관 부처에 '여론 왜곡 조작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범부처 TF 구성을 지시했다. 한 총리는 "가짜뉴스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심각한 사회적 재앙"이라며 "과거 드루킹 사건과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범부처 TF를 신속하게 꾸려 가짜뉴스 방지 의무를 포함한 입법 대책과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댓글 작성자의 국적이 노출되도록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상근 서강대 교수는 "댓글에 국적 표시는 당연히 해야한다"며 "아이디 같은 경우는 한사람 당 몇개씩 만들 수 있으니 IP와 아이디 두가지를 가지고 인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댓글을 달지 못하도록 하거나 댓글 횟수를 1인 1 댓글 이상 안되게끔 추진하는 것이 여론의 양극화를 막는 법"이라며 "요즘 모든 것이 다 포털에 종속됐다. 정부가 지원해 포털과 뉴스를 분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윤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