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출마자들은 중앙선관위에 5대 공약과 관련된 세부 추진과제를 의무적으로 제출한다. 비정부 민간기구(NGO)인 법률소비자연맹(총재 김대인)이 이를 지자체 홈페이지에 게시된 내용과 비교한 결과, 평균 75.71%만이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소비자연맹이 최근 발표한 ‘17개 광역단체장 선거공약 이행률 평가’ 자료에 따르면, 민주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만이 양자가 100% 일치했다. 같은 당 소속 이시종 충북지사가 93%, 새누리당 소속 허남식 부산시장이 92%, 새누리당 소속 김관용 경북지사와 박맹우 울산시장이 88%의 일치율을 보였다.
반대로 민주당 소속 송영길 인천시장은 43%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당 강운태 광주시장이 48%로 뒤를 이었다. 새누리당 소속 유한식 세종시장은 65%, 민주당 소속 안희정 충남지사와 박준영 전남지사는 68%였다.
나머지 새누리당 소속 단체장들 중 김문수 경기지사는 80%, 김범일 대구시장은 78%, 염홍철 대전시장은 74%, 홍준표 경남지사는 78%, 우근민 제주지사는 75%였다. 민주당 소속 단체장들 중 김완주 전북지사는 78%, 최문순 강원지사는 71%였다.
공약변경사항에 대한 설명은 서울시·대구시·광주시만 홈페이지에 이를 명시했고, 경북도·전북도·충북도·대전시는 표시는 했으나 찾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중앙선관위에 제출된 공약사항이 홈페이지에 게시된 곳은 서울시·광주시·경북도·강원도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균 공약이행률은 중앙선관위에 제출한 5대공약 기준, 73.48%로 조사됐다. 경북도가 80.45%로 이행률이 가장 높았다. 서울시가 80.30%, 전남도가 80.00%로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시가 63.46%로 가장 낮았고, 인천시가 63.81%, 제주도가 66.00%였다. 나머지는 70%대에 위치했다. 공약이 20개 이하인 경남·전북·충북·충남도 등은 형평성과 공약수 하한선 유도를 위해 공약이행률 집계에서 제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