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본지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한국갤럽의 주간 정기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경제정책·경제현안 처리’를 긍정평가의 이유로 꼽은 응답은 공약후퇴 논란을 부른 복지정책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9월 1주차의 경우 ‘복지정책 확대’는 전체 긍정평가 응답자의 6%였지만 ‘경제정책·경제현안 처리’는 5%, ‘규제개혁’은 단 1%에 불과했다. 8월에도 ‘복지정책 확대’는 1주차 6%·2주차 5%·3주차 5%·4주차 7%였던 반면 경제정책 경제현안 처리는 1주차 3%·2주차에 5%·3주차 2%·4주차 5%에 불과했다. 규제개혁은 거론조차 되지 않았다. 2월부터 7월까지는 ‘경제정책·경제현안 처리’에 대한 응답이 대부분 1~2%에 그치며 최하위권을 맴돌기도 했다. 새해 경제정책이 발표됐던 1월에만 3~4%대에 머물다 5주차에 1%로 떨어진 후 7월까지 계속됐다.
매달 한 차례 실시된 국정수행 우선과제 조사에서는 시종일관 ‘경기회복·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실업문제 해결’이 1·2위를 차지해 대조를 보였다.
긍정평가의 주요한 이유로 4월까지는 국정초반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외교·국제관계’나 ‘대북·안보정책’이 꼽혔고, 5월 이후에는 이마저도 후퇴하면서 ‘주관·소신있다’나 ‘열심히 한다’와 같은 국정수행 태도에 대한 이유가 대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