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찌라시'에 부화뇌동 말라", 새정치 "국정농단 진상 밝혀야"
|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은 담뱃값·법인세 협상 등 예산 정국에서의 ‘사실상 판정패’를 만회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미 청와대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단’을 출범하고 발빠른 대응에 착수했다. 30일에는 이번 사건을 ‘정윤회 게이트’로 명명하고 국회 운영위원회의 조속한 소집을 요구하고 나섰다.
서영교 새정치연합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야당은 운영위를 소집해서 도대체 이 문건이 무슨 내용인지, 인사를 비선라인이 농단했는지 정확히 밝혀야 한다. 국회는 그것을 밝힐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이 운영위 소집에 응하는 것처럼 하더니 갑자기 검찰수사를 지켜봐야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며 “여당의 입장이 갑자기 모호해 진 것은 혹시 다른 곳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것 아닌가. 혹시 다른 비선라인이 여당을 좌지우지 하고 있는 것은 아니냐”고 했다.
반면 새누리당은 “검찰 조사가 먼저”라며 새정치연합의 공세를 적극 차단하고 나섰다. 검찰의 수사가 시작된 만큼 철저한 진상조사를 지켜보되, 야권의 정치 공세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청와대 유출 문건은 ‘찌라시’에 불과하다면 “새정치연합이 부화뇌동하고 있다”고 몰아붙였다.
이장우 원내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을 통해 “지금까지 언론이 보도한 청와대 문건의 내용을 보면 문건의 제목부터 ‘동향’으로 표현되어 있다”며 “문건의 내용 역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그동안 시중에 떠돌던 실체없는 ‘카더라’식의 무책임한 내용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이어 “루머 수준의 문건을 갖고 의혹을 확대 재생산하는 새정치연합의 저급한 행태에 우려를 금치 못한다”며 “새정치연합이 실체도 없는 ‘찌라시’의 뒤에 숨어 국정을 흔들려는 의도가 있다면 국민적 심판과 비판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현숙 원내대변인도 “새정치연합이 정보지 수준의 내용을 소위 ‘국정농단 게이트’로 몰아붙이고 있다”며 “공당으로서의 책무를 잊은 채 확인되지 않는 속설을 가지고, 국회 운영위 개최를 요구하고 진상조사단을 구성한 것은 이를 한낱 정쟁의 도구로 삼겠다는 속셈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12월 2일 내년도 예산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후 여야 공방은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정윤회 돌발 변수’로 인한 정국 급랭으로 예산안 외의 주요 법안을 12월 9일 정기국회 마지막 날까지 처리하기로 했던 여야 합의도 불투명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