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원 대비 0.2% 하락, 작년 동월 대비 1.0% 상승했다.
올 초 1.1%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 1.5%, 5월과 6월 각각 1.7% 등으로 상승세를 타는 듯했으나 7월 1.6%, 8월 1.4%, 9월 1.1%, 10월 1.2%로 다시 둔화됐다.
11월에는 1.0%로 지난 2월(1.0%) 이후 9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도 1년 전보다 1.6% 오르는 데 그쳤다.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도 작년 같은 달보다 1.3% 오르는 데 그쳐 작년 8월(1.3%) 이후 최저 상승률을 나타냈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보다 0.7% 상승해 4개월 연속 1%를 밑돌았고,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5.2% 하락해 1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신선과실(-11.4%)과 신선채소(-5.7%)의 하락 폭이 컸으며 신선어개(4.7%)와 기타신선식품(3.3%)은 올랐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1% 떨어지며 지난해 9월부터 1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양파(-35.5%), 사과(-9.3%), 파(-20.7%) 등이 하락했고 돼지고기(15.3%), 국산 쇠고기(7.5%), 풋고추(42.0%) 등은 올랐다.
공업제품은 작년 같은 달보다 0.1% 떨어졌다. 운동복(9.5%), 햄(14.4%) 등은 올랐으나 휘발유(-7.5%), 경유(-8.9%) 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2.1% 상승했다. 도시가스(4.8%)와 상수도료(0.6%), 지역난방비(0.1%) 등이 오른 영향이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1.6% 올랐고 전월 대비 0.1% 떨어졌다.
하수도료(11.8%), 외래진료비(1.8%), 시내버스료(1.7%) 등이 상승해 공공서비스는 작년 동월보다 0.8% 올랐다.
개인서비스도 작년 같은 달보다 1.8% 올랐다. 학교급식비(-6.2%), 국내 단체여행비(-6.6%), 가정학습지(-2.5%) 등은 내렸으나 고등학생 학원비(3.5%), 공동주택관리비(2.9%), 미용료(4.5%) 등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집세는 작년 동월보다 2.2% 올랐는데 전세(3.0%)와 월세(0.6%)가 모두 상승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떨어지면서 국내 석유류 가격이 많이 내려갔고 지난해 전기요금 인상 효과가 없어진 가운데 여행 비수기 등 요인이 겹쳐 물가 상승폭이 둔화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