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건의 당사자인 정씨와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52)은 각각 언론의 인터뷰를 통해 논란이 되고 있는 문건의 작성 경위나 국정 개입 의혹 등에 대해 다른 주장을 펼쳤다.
정씨는 지난달 30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물론 3인 측근 비서관들과는 아무런 연락이 없다”며 “10인이 회동해 국정을 논의하고 인사 등에 개입했다는 것은 완전한 낭설이자 소설”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07년 대선 이후 7년간 야인으로 살고 있으며 국정 개입은커녕 청와대 비서관들과 연락도 끊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은 1일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정씨가 이 총무비서관과 지난 4월 연락을 취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조 전 비서관은 4월 10∼11일 청와대 공용 휴대전화로 모르는 번호의 전화가 왔고, 이후 “정윤회입니다. 통화를 좀 하고 싶습니다”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 “4월 11일 퇴근길에 이 총무비서관이 전화를 걸어와 ‘(정윤회씨) 전화를 좀 받으시죠’라고 했다”고 폭로했다.
그는 아울러 “정씨의 전화를 받지 않은 그 다음 주 화요일(4월 15일) 홍경식 민정수석이 갑자기 불러 갔더니 ‘그동안 수고했다’며 그만두라고 하더라”고 주장하는 등 ‘정윤회 문건’과 자신의 사퇴가 연관돼 있음을 암시했다.
이들의 폭로전으로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 그림자 실세 간 권력 암투설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편 수사팀은 고소 사건 처리절차에 따라 청와대 측 고소대리인을 전날 불러 고소장 내용을 확인하는 등 조사했다.
수사팀은 양 당사자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여러 논란을 해소하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조만간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고소장에 이름을 올린 행정관, 비서관 등 8명을 고소인 자격으로 조사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청와대 측 고소대리인인 손교명 변호사는 “고소인으로서 검찰의 소환 조사 등 수사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이날 “고소인 출석, 불출석과 관련한 입장을 전달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