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유출 경위가 아니라 문건 '내용'의 진상조사가 핵심"
|
새누리당은 이날 “한 점의 의혹도 없는 수사”를 강조하면서도 국회가 최우선으로 해야할 일은 내년도 예산안 처리와 정기국회 내 입법 완료 등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이미 문건 유출에 대한 검찰 수사가 시작됐고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정면 돌파’에 나선 만큼 새정치연합이 주도하는 ‘국정농단 프레임’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전날까지만 해도 연일 새정치연합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던 것과 달리 2일에는 공식적인 대응을 자제했다.
다만 이장우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새정치연합은 사실 확인도 되지 않은 문서를 갖고 더 이상 국정 혼란을 부추겨서는 안 된다”며 “의혹만 있고 사실관계가 전혀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정치연합은 문건의 내용을 사실로 전제하고, 권력 사유화 운운하며 여론몰이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원내대변인은 “특히 문서에 등장하는 인사들의 인권이 정쟁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새정치연합은 분명히 인지하고 더 이상 의혹을 확대 재생산해선 안 된다”며 “혹시 실체도 없는 문건을 공무원연금 개혁과 ‘4자방’ 국정조사와 연계해 또 다시 정치적 흥정을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유출된 문서의 ‘내용’이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새정치연합은 ‘비선 실세’와 ‘십상시’의 실체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회 운영위원회를 조속히 소집해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책임을 묻고 상설특검과 국정조사로 ‘국정농단’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완주 새정치연합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의 고발에 따른 검찰의 수사가 단지 문서유출에만 국한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대통령의 측근과 비선이 공식적 지위를 갖고 있지 않으면서 인사를 좌지우지한 사실이 있는지, 국정에 개입하고 전횡을 가해 국정을 농단한 사실이 있는지를 철저히 수사하고 규명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현 대변인도 “청와대 측 대리인을 맡은 변호사가 공직기강비서실 보고서는 ‘명백한 허위’라면서도 ‘법률상 대통령기록물’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며 “헛웃음이 나올 정도로 빈약한 주장이 아닐 수 없다. 감찰보고서 유출에 놀라 허둥지둥 대는 청와대의 심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듯하다”고 지적했다.
박 대변인은 특히 “‘정윤회씨와 이재만씨가 지난 4월 연락한 사실이 없다’던 청와대 주장과는 달리 조응천 전 비서관에 이어 정씨도 연락한 사실을 인정했다”며 “정씨의 주장도 검찰 수사를 앞둔 갖가지 주장 중 하나인지 모르겠지만, 법을 앞세워 관련자의 입을 막아보려던 청와대의 의도가 매우 무안할 것 같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