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결과 알 수 있는 위치의 사람에게 전달 받은 것으로 추정"
|
선관위는 이날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에 제출된 여론조사결과를 확인한 결과, 자료의 형식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일부 내용도 일치하지 않았다”며 “공표된 여론조사 결과는 다수의 지역구 결과가 한 면에 게재되어 있으나, 실제 제출된 여론조사결과는 1개 지역구 마다 한 면으로 작성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확인된 68개 선거구 중 51개의 선거구에서 후보자 수가 다르거나(45개), 지지율 수치(19개) 또는 성명이 불일치(14개)했고, 여론조사결과가 일치한 것은 17개 선거구였다”고 설명했다.
선관위는 이미 특별 조사반 11개팀을 구성해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한 여의도연구원 관계자와 이한구 공관위원장을 포함한 위원 전체 및 관계자 등을 직접 만나 문답서를 받고, 여론조사결과를 SNS로 수신한 자를 대상으로 최초 공표자를 역추적하는 등 강도 높은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여연 관계자도 이날 “연구소의 여론조사 관계자들도 이미 조사를 받았다”고 전했다.
특히 선관위가 이날 “특정할 수 없는 누군가가 여론조사 결과를 알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으로부터 해당 내용을 전달받은 후 작성·공표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힌 점도 주목된다. ‘여론조사 결과를 알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과 ‘전달 받은 사람’, ‘왜곡·조작해 작성·공표한 사람’이 누구인지에 따라 새누리당의 공천 판도가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는 또 “다만 최초 공표자를 추적해 8명까지 범위를 압축했으나 수신내용 삭제 또는 진술거부 등으로 더 이상 조사를 진행하기 어려웠다”며 “관련자들의 통신자료 확보 및 휴대폰 디지털포렌식 등 심층 조사를 위한 시간적인 제약이 있는 점 등으로 최초 자료 작성자 및 공표자를 특정할 수 없어 신속히 수사의뢰 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