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 출입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우리 정부는 기회 있을 때마다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해왔고, 대화는 미·북, 남북 등 양자대화와 다자 대화를 포함, 여러 형식이 병행되어 추진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틸러슨 장관 발언에 반색했다.
박 대변인은 또 “한·미 양국 정부는 북한을 대화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최대한의 제재와 압박이 필요하다는 원칙을 견지하면서, 대북한 접촉 채널 유지 노력에 관해 긴밀히 협의해오고 있다”며 ‘대화와 압박’의 병행이라는 문재인정부의 대북노선이 한·미간에도 공유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그러나 미 국무부 대변인이 어젯밤 밝혔듯이 북한은 진지한 대화에 관한 아무런 관심을 표명해 오고 있지 않다”며 “미 정부는 오토 웜비어 사망 이후, 억류 미국인 석방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과 조용한 접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헤더 노어트 미 국무부 대변인은 30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은) 북한 현 정권 붕괴 촉진, 체제 변화 추구, 한반도 통일 가속화, 비무장 지대 이북 군사력 동원에 관심이 없다는 미국의 확언에도 불구하고 북한 관리들은 그들이 비핵화 대화에 관심이 있다거나 준비가 되어 있다는 어떠한 신호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