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압도적 지위 차지…사회적 책임, 공적 기능 다 해야"
기술 발달 따른 부정적 부분 축소 강조…"법·제도 마련하겠다"
|
윤 의원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토론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윤 의원과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주최·주관했고, 아시아투데이가 주관사로 참여했다.
윤 의원은 "포털을 통해 디지털 뉴스를 이용하는 비율이 79%이고 언론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직접 뉴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5%에 불과하다"며 "포털은 온라인 시장에도 압도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고, 소상공인·중소기업에 지배적인 권한을 행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혁신이라는 명분 아래, 플랫폼 산업의 특성을 활용해 수익을 쌓아온 포털은 사회적 책임과 함께 공적 기능도 다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가짜뉴스가 확대·재생산되면서 국민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그러나 포털은 상품거래뿐 아니라 뉴스 분야에서도 최소한의 '선량한 관리자로서 의무'조차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기술 발달에 따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같이 생긴다"며 "'그림자' 부분이 적어지도록 법과 제도로써 해결해야 하는데 지금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이날 토론회를 통해 국민과 언론계 종사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