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훈 기자협회장 "언론계, 포털 노예 되고 있어"
전문가들 "언론 자유는 헌법적 가치 실현"…'언론사 공동 뉴스포털' 등 제언
|
공룡 플랫폼의 여론 독점으로 사회적 갈등, 가짜뉴스의 반복된 노출, 언론 생태계 파괴 등 각종 병폐들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 공동 주최로 열린 '포털뉴스와 언론의 자유' 국회 정책 토론회에서 국회와 각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네이버 등 포털로 인한 언론 자유 침해를 꼬집었다.
주제발표에 나선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는 "언론의 자유는 헌법 가치의 실현"이라며 "플랫폼 사업자들이 언론 자유를 저해한다면, 어떻게 규제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승현 한양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는 △포털 알고리즘으로 인한 뉴스 소비의 파편화 △알고리즘의 불투명성 △포털 뉴스 규제의 한계 등을 지적하며 '언론사 공동 뉴스포털'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유 교수는 "기존의 포털 독점을 변화시킬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여야 의원들도 포털 뉴스서비스로 인한 병폐들을 지적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토론회를 주최한 윤 의원은 "포털은 상품 거래뿐 아니라 뉴스 분야에서도 최소한의 '선량한 관리자로서 의무' 조차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동 주최자인 김 의원 역시 "포털뉴스에서 형성된 여론에 따라 (정책적) 의사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온라인 플랫폼 소관 상임위인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백혜련 민주당 의원은 "포털 규제와 언론 독립을 지킬 여러 조치들이 필요하다. 정무위 차원에서 '온라인 플랫폼법'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려 한다"며 제도 개선 의지를 드러냈다.
김동훈 한국기자협회장은 "(한국 언론계는) 거대 공룡 포털의 노예가 되고 있다"며 "세계 어떤 나라에서도 포털에 의해 언론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된 곳은 없다. 매우 심각하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이민규 중앙대 교수(전 한국언론학회장), 강정수 전 청와대 대통령실 디지털소통센터장,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여론집중도조사위원), 허윤철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사무국장, 이은성 대한변호사협회 제1정책이사(변호사), 신영규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총괄과장, 한경종 공정거래위원회 시장감시정책과장 등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우종순 아시아투데이 대표이사 겸 부회장, 선상신 아시아투데이 총괄사장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