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릴 미중 무역 협상 개시를 앞두고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145%의 고율 관세를 선제 인하할 생각이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 중국이 "그렇다면 합의하지 않겠다"면서 반발했다. 충분히 예상됐던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clip20250508184344
0
미국과 중국이 치열한 관세 및 무역전쟁을 치르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한 매체의 만평. 9일부터 전쟁의 원만한 종식을 위한 양국의 협상이 열릴 예정이나 중국은 별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눈치를 보이고 있다./징지르바오(經濟日報).
린젠(林劍) 외교부 대변인은 8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의 선제 관세 취소가 협상의 핵심인가'라는 질문에 " 입장은 어제 밝혔다. 그러니 구체적 내용은 앞으로 지켜봐달라"면서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지키고자 한다. 국제적 공정과 정의를 수호하면서 다자 무역체제를 지키려는 중국의 입장과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나름 상당히 반발했다고 볼 수 있다.
허야둥(何亞東) 상무부 대변인 역시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이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대화의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면서 "일방적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등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을 준비를 하고 이를 행동에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말과 행동이 다르거나 대화를 구실로 협박을 거듭 시도한다면 중국은 절대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원칙을 희생하는 어떤 합의도 이루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관세 인하 없이는 어떠한 합의도 하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원론적 입장을 재차 밝혔다고 할 수 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의 전언에 따르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가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협상은 당장의 합의보다는 긴장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중국은 이번 협상이 미국 측 요구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강조할 뿐 목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협상을 별로 기대하지 않는다는 얘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