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베트남 ‘개별 합의’에 아세안 공동전선 균열…상호관세 대책마련 부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8010004439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07. 08. 12:15

2025011901001589800098211
지난 1월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열린 아세안 외교장관 회의장에 아세안기와 회원국들의 국기가 게양돼 있다/EPA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제58차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회의가 시작되는 가운데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정책을 둘러싼 아세안 회원국들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베트남이 개별적인 무역 합의를 타결하며 아세안의 공동 전선에 균열이 생겼다는 지적 속에서 각국도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8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채널뉴스아시아(CNA)는 이날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는 아세안외교장관 회의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회의를 지배하는 주요 논제가 될 것이라 보도했다.

전통적으로 무역 문제는 외교장관회의의 주된 의제는 아니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이 회원국들에게 미치는 파장이 큰 상황이다. 여기에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도 △아세안-미국 외교장관 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 외교장관 회의 △아세안지역포럼(ARF) 외교장관 회의 등에 참석할 예정인만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열릴 최고위급 회담에 묘한 긴장감도 감돌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베트남과 무역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합의는 베트남에 부과하려던 46%의 초고율 관세를 20%로 낮추는 대신 미국산 제품에 대한 무관세와 제3국 환적 물품에 대한 40% 관세 부과를 골자로 하고 있다. 전 세계에선 영국에 이어 두번째, 아시아에선 최초다.

다미앵 두하멜 유로그룹컨설팅 대표파트너는 이것이 "미국이 아세안 전체가 아닌 개별 국가와의 양자협상을 우선시한다는 메시지가 분명해졌다"며 "아세안의 단결이 더 이상 회원국들을 관세로부터 보호해주지 못할 것"이라 분석했다. 아울러 베트남의 협상 타결이 "선례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협상의) 기준을 높였다"고 짚었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는 그간 약 7억명의 인구와 3조8000억 달러(5191조 9400억원) 규모의 국내총생산(GDP)를 가진 아세안이 '단일 시장'으로서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하지만 베트남의 개별 행동으로 '하나의 목소리'로 공동 전선을 꾸리자는 이러한 전략은 힘을 잃게 됐다는 지적이다. 이에 툰쿠 모하르 말레이시아 국제이슬람대학 정치학 부교수는 "아세안의 접근법은 다자주의를 활용하면서도 회원국이 미국과 직접 협상하는 것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혼합형) 방식"이라며 "지역의 단결을 해칠 수 있지만 각국의 경제가 서로 경쟁하는 현실을 고려한다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아세안의 고심은 더욱 깊어질 수 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반서방 신흥경제국모임인 브릭스(BRICS)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들에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 경고했다. '반미 정책'의 구체적인 기준은 불분명하지만 아세안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가 브릭스 정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고, 말레이시아와 태국 역시 브릭스의 파트너 국가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워싱턴 현지시간) 서한을 통해 태국 36%·인도네시아 32%·말레이시아 25%·캄보디아 36%·라오스 40%·미얀마 4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며 발효 시점을 다음달 1일로 연기했다. 협상을 타결한 베트남을 제외한 나머지 회원국들은 대응책 마련과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야 하는 상황이다.

지정학 자문회사인 뷰파인더 글로벌 어페어스의 아디브 잘카플리 이사는 "어떤 동남아 국가도 협상에서 완전히 승리하거나 원하는 모든 것을 얻을 수는 없을 것"이라 분석했다. 그는 "결과가 어떻게 되든 관세 정책의 일부는 남게 될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부과한) 4월 1일 이전으로 완전히 되돌아갈 것이라고 기대해선 안된다"고 전망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