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카타르 수입분 미국산 전환 가능성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LNG 감소 추세
미국 에너지 수출 협상, 현실성 부족 분석도
|
3일 LNG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가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에너지는 총 232억 달러 규모로, 협상 결과인 연간 250억 달러 목표를 맞추기 위해서는 18억 달러 정도의 에너지를 더 수입해야 한다. 미국과의 협상 내용이 이들 대부분을 LNG 수입으로 해소하는 방안이어서, LNG 약 74%를 수입하고 있는 한국가스공사가 직접 수입 물량 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우리나라 미국 LNG 수입 물량은 약 564만톤(t)으로, 협상 결과에 맞춰 수입량을 늘리면 연간 약 900만톤으로 확대될 수 있다.
지난해 국내 천연가스 수입량은 호주가 24.6%, 카타르가 19.2%, 말레이시아가 13.2%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LNG 수입량을 맞추기 위해서는 이들 국가의 물량을 일부 미국산으로 대체해야 하는데, 가스공사는 향후 종료되는 장기구매계약을 순차적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부는 확대 예상 물량이 무리한 수준은 아니며 수입처 다변화로 에너지 안보의 리스크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새 정부가 에너지믹스 기조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연속으로 내놓으면서 향후 남아도는 LNG 수입분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라는 숙제가 남는다. 정부는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 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을 직접 지역 산업단지에 활용하는 방안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상으로 화석연료를 줄이기 위해 민간 기업들에게 무탄소 전력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정부가, 반대로 추가 수입되는 LNG의 활용과 수익성 보전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셈이다. 실제 우리나라 LNG 수입량은 올해 상반기 약 2306만톤으로, 지난해 상반기 2345만톤에 비해 1.7% 줄어들었다.
일각에선 미국의 관세협상에 따른 에너지 수출 계획이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협상을 타결한 유럽연합(EU)의 경우 3년간 매년 2500억 달러의 에너지를 수입하기로 했지만, 미국의 원유·LNG 수출 전량을 구매하더라도 연간 1410억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미국의 LNG 수출 터미널도 현재 풀가동 중이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에너지 공급 전환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LNG 업계 전문가는 "LNG 가격도 하락하는 상황이어서 미국이 약속한 분량을 전 세계에 공급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민간 기업에 수입을 강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장 논리에 따라 향후 수출입 물량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