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등 동남아 간담회 통해 판로 개척
재사용발사체 도입으로 효율성 개선
|
5일 우주청에 따르면 다음달 9일까지 '우주개발 진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의 입법예고 절차를 진행 중이다. 개정안은 민간기업이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업 지원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 융자나 2차보전 지원을 비롯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 비용 지원, 기술을 이전받으려는 기업에 필요한 지원 등을 포함했다.
우주청은 이번 개정을 통해 우주개발에서 민간의 역할을 확대하는 한편, 민간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활용할 때 부담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우주청 관계자는 "우주항공 분야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우주개발산업에 따른 기술을 이전 받으려는 기업에 대해 자금의 융자 등을 지원하는 규정을 마련해 민간의 기술 이전 촉진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증가 곡선을 그려나가고 있는 해외 우주산업 수요에 맞춰 국내 기업의 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기회도 만들어나가고 있다. 특히 위성 관련 수요가 많은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사업을 창출하고 있다.
지난달 28, 31일과 이달 4일에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국에서 뉴스페이스 세미나를 개최하며 현지 정부 기관과 국내 기업 간의 접점을 확대했다.
국내 기업들은 위성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3개국에 제작·개발 기술을 비롯해 위성 영상기반 인공지능(AI) 분석 및 기후·재난 대응 솔루션 등을 소개, 신규 판로 개척에 주력했다.
이어 우주청은 우리 기업의 희망을 반영해 현지 기관 및 기업과의 1대 1 비즈니스 미팅을 마련하면서 협업 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향후 우주청은 자립적인 기술 역량 확보라는 목표 아래 세부 계획을 실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차세대발사체를 기존 소모성에서 재사용으로 전환해 발사 비용을 낮추는 한편, 발사장 확장 구축을 계획하며 국내 우주산업 수요를 키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