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제에 암운, 中 7월 CPI 상승률 0%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9010004315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8. 09. 15:44

디플레이션 우려 지속
PPI는 34개월 연속 하락
당국, 출혈 경쟁에 제동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상승률 0%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의 물가 하락)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clip20250809153923
베이징 차오양(朝陽)구의 한 시장. 소비자들이 별로 찾지 않는지 한산하기만 하다.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괜한 게 아니라는 사실을 말해주는 듯하다./징지르바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9일 보도를 종합하면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은 7월 CPI가 전년 동월과 같았다고 발표했다. 이는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0.1%보다는 높은 것이다. 최악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위안을 삼을 수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보인다.

중국의 전년 동기 대비 CPI 변동률을 살펴보면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 발표와 춘제(春節·중국 설)가 겹친 올해 1월 0.5% 올랐다. 그러나 2월 0.7%로 내린 다음 3∼5월 연속 0.1% 하락을 기록했다. 이후 6월 CPI는 0.1% 올라 소폭이나마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그러나 한 달 만에 다시 0%로 내려왔다.

중국 당국은 최근 디플레이션 압력 속에 기업들의 비이성적인 '제 살 깎아먹기' 가격 경쟁이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다는 인식을 갖고 제동에 나섰으나 물가 측면에서는 아직 뚜렷한 효과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경제 평론가 추이민후(崔民虎) 씨는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상시화는 이제 현실이 될 수도 있다. 빨리 이 압력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려면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현재 당국은 무질서한 경쟁 해결을 중시하고 있다. 그런 만큼 추가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 전망했다.

7월 CPI는 그러나 전월 대비로는 0.4% 오르는 등 긍정적 부분도 없지 않았다. 주로 서비스와 공업용 소비재 가격 상승 및 소비 촉진책 덕분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외에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이 이어짐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3.6% 내리면서 3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3.3%보다도 저조했다. 중국 PPI는 6월에도 3.6% 내리면서 23개월 만에 최대 하락치를 기록한 바 있다. 중국 경제에 아직은 햇살이 들지 않고 있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