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는 34개월 연속 하락
당국, 출혈 경쟁에 제동
|
중국의 전년 동기 대비 CPI 변동률을 살펴보면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 발표와 춘제(春節·중국 설)가 겹친 올해 1월 0.5% 올랐다. 그러나 2월 0.7%로 내린 다음 3∼5월 연속 0.1% 하락을 기록했다. 이후 6월 CPI는 0.1% 올라 소폭이나마 5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그러나 한 달 만에 다시 0%로 내려왔다.
중국 당국은 최근 디플레이션 압력 속에 기업들의 비이성적인 '제 살 깎아먹기' 가격 경쟁이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는다는 인식을 갖고 제동에 나섰으나 물가 측면에서는 아직 뚜렷한 효과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경제 평론가 추이민후(崔民虎) 씨는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상시화는 이제 현실이 될 수도 있다. 빨리 이 압력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려면 여전히 갈 길이 멀다. 현재 당국은 무질서한 경쟁 해결을 중시하고 있다. 그런 만큼 추가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 전망했다.
7월 CPI는 그러나 전월 대비로는 0.4% 오르는 등 긍정적 부분도 없지 않았다. 주로 서비스와 공업용 소비재 가격 상승 및 소비 촉진책 덕분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외에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이 이어짐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3.6% 내리면서 3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3.3%보다도 저조했다. 중국 PPI는 6월에도 3.6% 내리면서 23개월 만에 최대 하락치를 기록한 바 있다. 중국 경제에 아직은 햇살이 들지 않고 있다고 해도 좋을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