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시진핑 시대 후반전, 차기 中 당정 지도부 윤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8010008399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8. 18. 20:15

자신 임기 중 양안 전쟁 없다 언급
자신의 시간 곧 간다 인식하는 듯
차기 지도부 윤곽은 예상대로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시대가 저물어가는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의 차기 당정 지도부의 윤곽이 서서히 나오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논의가 빠르면 10월에 열릴 예정인 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제20기 4중전회)에서 있을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clip20250818201318
올해 1월 1일의 징지르바오(經濟日報)의 1면.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위상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러나 그의 시간은 그리 오래 남아 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징지르바오.
중국 권부(權府) 정보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18일 전언에 따르면 시 주석의 당정 권력 서열 1위인 총서기 임기는 2027년 10월에 열릴 것으로 보이는 제21차 전국대표대회(매 5년마다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끝난다. 만약 이때 총서기로 4연임 하지 않을 경우 2028년 3월에 예정된 제15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1차 회의에서는 국가주석 자리에서도 내려와야 한다. 자연스럽게 은퇴하면서 야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총서기에 재선출될 경우는 얘기가 달라진다. 2032년 10월과 2033년 3월까지 총서기와 주석 자리를 굳건하게 지킬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정황을 보면 그렇게 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무엇보다 그의 건강과 나이가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2033년이면 80세가 될 나이는상당한 부담이라고 해야 한다. 그가 주위의 반대에도 은퇴라는 용단을 내리지 말라는 법이 없다.

그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가진 전화 통화에서 "내 임기 중에 대만과의 전쟁은 없다"라고 단호하게 말한 사실 역시 예사롭지 않다고 해야 한다. 자신의 시대가 이제 곧 갈 것이라는 사실을 에둘러 피력했다고 봐도 좋지 않을까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베이징의 정치 평론가 장(張) 모씨가 "지금 국제사회에서는 시 주석이 자신의 총서기 3연임 임기가 마무리되는 2027년까지 대만을 해방시키려고 한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시 주석도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아마도 자신의 임기를 거론했을 수 있다. 이는 자신의 모든 임기가 2028년 끝날 것이라는 말과 어느 정도 통한다"면서 그의 은퇴가 생각보다 빨라질 것이라고 전망하는 것은 다 이유가 있는 듯하다.

딩쉐샹(丁薛祥) 부총리를 비롯해 차기 당정 최고 지도부를 구성할 잠룡들의 이름이 계속 거론되는 현실 역시 직시해야 할 것 같다. 심지어 최근 조용히 막을 내린 전, 현직 당정 최고 지도부 비밀 회의인 이른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에서는 현안으로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장 최고 지도자로서의 권위나 위상에는 전혀 변함이 없기는 하나 시 주석의 시대가 조용히 가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라고 해도 좋을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