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조선업 美 작전에 사용 가능성, 中 매체 경고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19010008973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8. 19. 16:18

글로벌타임스 주장
문제 가능성 농후 강조
논평 통해 자극적 지적
중국의 한 매체가 한국과 미국의 조선업 협력과 관련, 한국이 제조한 선박이 미군의 작전에 활용될 경우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노골적으로 경고했다.

clip20250819161215
한화그룹 방산 부문이 인수한 것으로 알려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 한국과 미국 조선업의 협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글로벌타임스.
중국 당 기관지 런민르바오(人民日報) 계열의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18일 논평을 내고 미국 상원의원들이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자국 조선업 강화를 위해 동맹국을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AP 통신의 최근 보도를 인용하면서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특히 미국이 자국 해군의 비전투 함정 건조 및 수리를 위한 합작 투자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거론하면서 "비전투 함정이 포함됐다고 보도됐다. 그러나 이 함정들은 미 해군에 사용되기 때문에 넓게는 방위산업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은 어느 정도 미국이 이들 두 주요 조선국을 자국의 방어 틀에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적 전술로 볼 수 있다"면서 "미국은 조선 분야 협력을 모색함으로써 한일의 기술 전문성과 재정 투자를 활용해 전략적 군사 목표를 달성할 뿐 아니라 잠재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한국이나 일본의 로고가 새겨진 이런 함정들이 제3국을 상대로 한 미군의 작전에 활용될 경우 한국이나 일본에 잠재적으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 후 "이들 두 국가는 이 같은 시나리오를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자국의 역량을 강화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런 접근 방식은 한국과 일본의 이익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의 입장에서는 미국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자국의 인재 및 기술과 자본을 미국 조선업의 성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반드시 수익성 있는 사업은 아닐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타임스는 지난달 30일에도 한국이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에 조선업 패키지 협력 방안인 이른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를 제안한 것에 대해 "한국의 조선 패키지 제공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위험이 있다"면서 의도적인 경고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또 "미국은 자국의 이익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그런 만큼 한국의 이익을 무시하면서 협력에서 알짜를 차지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한 후 "한국 조선업체들이 생산 능력과 숙련된 엔지니어의 상당 부분을 미국 조선소로 이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의존도 증가는 한국의 산업 공동화 추세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