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산업계-보험업계 협력 방향 모색
|
세미나는 기후위기 대응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산업의 저탄소 전환이 필수임을 인식하고, 이를 촉진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전환리스크 관리의 필요성과 보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정부-산업계-보험업계의 협력 방향 모색도 함께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 주제발표에서는 기후위기와 보험의 역할, 철강산업의 기후리스크 및 시사점, 국내 저탄소 전환보험 도입 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이승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위기와 보험의 역할'을 주제로 저탄소 전환과 기후적응 측면에서 보험산업이 고유의 사업모형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향후 보험산업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도 제시했다.
정광민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는 '국내 저탄소 전환보험 도입 방안'을 주제로 저탄소 전환분야 보험시장 조성을 위한 단기 전략으로 정책성 보험제도 구축과 이를 위한 전담조직 신설을 제시했다. 중장기 전략으로는 위험평가 전문기관과 기업 보험중개시장 활성화 등을 제언했다.
두 번째 세션인 토론에선 최용상 이화여대 교수의 주재로 보험업계와 산업계, 학계 등 각계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해 토론을 진행했다.
토론참여자들은 저탄소 전환의 난제로 꼽히는 기술개발 실패와 시장수요 변화 투자 불확실성 등 전환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과 산업계와 보험업계 간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우리 경제의 친환경·저탄소 전환 과정에서 보험산업이 할 수 있는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보험산업의 기여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제도적 지원과 함께 공사협력을 통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