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는 올해 초 전국 지자체에서는 처음으로 북부청사 구내식당에 '스마트 잔반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직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체계적인 데이터 분석 기반의 운영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경기도청 북부청사에 따르면 북부청사가 스마트 잔반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월평균 잔반량은 18.5kg으로 지난해(22.5kg)에 비해 4kg(17.7%) 감소했다. 이로 인해, 쌀·김치류 등 주요 품목 식자재비는 1인 평균 958원에서 861원으로 10.1% 절감됐다. 또한 같은 기간 잔반줄이기 운동에 참여한 직원들의 비율은 지난해 일평균 134 명 대비 163 명으로 21.6% 증가했다.
환경부의 제도 개편과 함께 '잔반제로 실천' 항목이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에 공식 반영됨에 따라, 경기도의 선제적 시스템 도입은 정부 정책 실현에 기여한 대표 사례로 평가될 전망이다.
'스마트 잔반관리 시스템'이란 식후 개인별 잔반량을 측정한 뒤, 잔반 무게에 따라 포인트가 지급되는 방식이다. 참여자의 동기부여 향상을 위해 잔반 절감량에 따른 개인별 보상 포인트가 지급된다는 게 특징이다. 누적 포인트로 식사권, 커피쿠폰, 모바일 상품권 등 실질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일별 잔반량과 함께 메뉴 선호도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식자재 절감 및 급식 품질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
원진희 도 행정관리담당관은 "탄소중립은 거창한 구호보다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경기도의 스마트 잔반관리 플랫폼이 공공부문 탄소중립 실현의 성공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