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그린리모델링 중요한데…정부, 민간 활성화 지원 나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7010003742

글자크기

닫기

이철현 기자

승인 : 2025. 09. 08. 09:15

2050 탄소중립 달성 위해 시급…정책 마련 착수
덕곡
고령군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으로 에너지 성능을 향상시킨 덕곡보건지소. /고령군
그린리모델링 사업이 민간시장을 중심으로 활성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이를 위한 정책이 나올 계획이어서 활성화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업계의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건설업 지원이 적극 필요한 시점에서 그린리모델링 사업이 민간시장에서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나섰다.

그린리모델링은 단열 보완, 조명·고효율 냉난방 교체 등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이나 효율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는 리모델링 사업으로 민간시장에서의 활성화가 시급하다.

정부는 지난 2014년부터 공공건물과 민간건물을 구분해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활성화가 필요한 민간의 경우 지지부진한 상황이 지속된 후 2023년 11월부터 중단됐다.

정부는 오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민간의 노후 건물 탄소감축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국 건물의 96% 이상을 민간 건물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민간 건물의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성능개선 활성화 없이 국제적 온실가스 감축을 이뤄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최근 건설업 불황까지 겹치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자 민간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앞서 정부는 '제3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2025~2029년)을 통해 민간에서 건물의 성능개선을 통해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량의 '정량평가 방법론 개발'과 이를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을 고시한 바 있다.

다만 아직까지 예산 마련 등 현실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재건축 등 다양한 사례를 검토하면서 지원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기존 리모델링 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철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