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6·27 규제 전 시차 반영에 8월 가계대출 4.7조 증가…당국 “불안요인은 여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807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9. 10. 16:16

전월 대비 2.4조원↑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
당국 "금리 인하 및 주택 시장 기대 심리 등 불안요인 여전"
당국·관계기관·금융권 가계부채 점검회의 주기적 개최해 '안정' 도모
ㅏ
시중은행 ATM기기 전경/연합뉴스
8월 가계대출이 4조7000억원 늘며 전월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신학기 이사 수요 등 계절적 요인과 함께, 6·27 대출 규제 이전에 늘었던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주택담보대출이 확대된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전년 동월 대비 절반 수준으로 증가세가 축소됐다고 평가하면서도, 금리 인하 기대와 집값 상승 심리 등 잠재 위험을 경계했다.

1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8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7000억원 증가해 전월(2조3000억원)보다 늘었다. 다만 지난해 같은 달(9조7000억원)에 비해서는 절반 수준에 그쳤다. 당국은 "8월은 통상 계절적 요인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크게 확대되는 시기임에도 전년 동월 대비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축소된 점은 긍정적 "이라면서도, "안심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은 5조1000억원 늘어 전월(4조2000억원)보다 확대됐다. 은행권이 3조9000억원, 제2금융권이 1조3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기타대출은 4000억원 감소해 줄었으나, 전월(-1조9000억원)에 비해 감소폭은 크게 축소됐다. 금융당국은 "휴가철 자금 수요와 신용대출 감소폭 축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은행권 자료에서도 같은 흐름이 확인된다. 은행 가계대출은 4조1000억원 늘어 7월(2조7000억원)보다 확대됐으며, 주담대는 3조9000억원으로 주택구입 목적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한은은 "6·27 규제의 영향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5~6월 늘었던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주담대 증가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기타대출도 전월 -6000억원에서 3000억원 증가로 반전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시장의 기대 심리 등 가계부채의 불안요인이 여전하다"며 "향후 금융당국·관계기관·금융권간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주기적으로 개최해 이번 조치가 시장에 조기 안착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