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316명 등 탑승 전세기, 미 애틀랜타공항 출발 미 이민당국 급습 7일만 한국행 12일 오후 3시께 인천공항 도착...한미, 전문직 취업비자 발급 논의
한국으로 향하는 석방 근로자 탑승 전세기
0
미국 이민 당국에 구금됐다가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들이 탑승한 대한항공 전세기가 11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이륙하고 있다./연합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구금됐다가 11일 새벽 풀려난 한국인 316명이 이날 오전 11시 38분(한국시각 12일 오전 0시 38분)께 미국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전세기 편으로 한국으로 출국했다.
이들은 12일 오후 3시께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할 전망이다. 이들은 이날 오전 2시 18분(한국시간 오후 3시 18분)께 조지아주 이민세관단속국(ICE)의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풀려나 우리 기업 측이 마련한 일반 버스 8대에 나눠 타고 약 6시간을 달려 430㎞ 떨어진 애틀랜타 공항으로 이동했다. 인근 스튜어트 구금시설에서 석방된 여성 근로자들이 탄 버스 1대도 이에 앞서 공항에 도착했다.
버스 바라보는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
0
미국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체포됐던 한국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11일 새벽(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서 버스를 타고 대한항공 전세기가 대기하고 있는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출발하는 상황은 이번 사태 관련 한국인 영사 업무를 총괄한 조기중 워싱턴 D.C. 한국대사관 총영사가 지켜보고 있다./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우리 정부에 약속한 대로 이들은 구금시설을 나서 수갑 등 신체적 구속 없이 평상복 차림으로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이들을 태운 버스는 애틀랜타 공항 화물 청사로 이동, 전날부터 대기 중이던 대한항공 전세기 부근에 정차했다. 이들은 일반 탑승객과 달리 화물 청사에서 별도의 신원 확인과 탑승권 교부 등 출국 절차를 밟은 뒤 전세기에 탑승했다.
사태 수습을 위해 미국을 찾은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등도 전세기에 같이 탔다.
이번에 구금된 한국인은 총 317명(남성 307명·여성 10명)으로 이 중 1명은 '자진 출국' 대신 잔류를 선택했다. 여기에 외국 국적자 14명(중국 10명·일본 3명·인도네시아 1명)을 포함해 330명이 한국행 전세기에 올랐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인 구금자들이 귀국 후 미국 재입국 등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확약했다고 조현 외교부 장관이 전날 밝혔다. 다만 미국 법규상 자진출국시 재입국 관련 제약 문제가 애매한 측면이 있어 향후 실제 불이익이 없는지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미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대미 투자기업의 전문 인력들을 위한 미국 비자를 새롭게 설계하는 논의에 착수했다.
USA-SOUTHKOREA/MIGRATION
0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등 단속 요원들이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한국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불법체류·고용 단속 작전을 펼치고 있다./로이터·연합
이와 관련, 이번 단속 현장에 된 공장에서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받은 예정인 현대차 미국법인 해 호세 무뇨스 대표이사 사장은 이날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자동차 행사에 참석해 현지 언론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일은 우리에게 최소 2∼3개월의 지연을 일으킬 것"이라며 "지금 이 모든 사람들이 (한국) 복귀를 원해 그 자리들을 어떻게 채울지 모색해야 하고, 대부분 (고용할) 사람들이 미국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블룸버그통신 등이 보도했다.
무뉴스 사장은 "공장 건설 단계에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며 "미국에서는 구할 수 없는 기술과 장비가 많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사태와 관련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이날 '오토모티브 뉴스 콩그레스'에서 "우리 정부와 미국 정부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비자 규정이 매우 복잡한데, 함께 더 나은 제도를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