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공사에 따르면 이학재 사장은 전날 공사 회의실에서 열린 '베트남 쟈빈 신공항 개발사업 관련 협력회의'에 참석해 신공항 사업 관련 베트남 관계자 등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사가 보유한 △세계적인 공항 건설 및 운영 노하우 △국제무대에서 입증된 세계 최고 수준 공항 서비스 역량 △공항 주변지역과 연계한 공항경제권 개발 △해외공항사업 수주 및 수행역량 등을 접목해 쟈빈 신공항을 베트남 북부의 새로운 항공·경제 허브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베트남 측 관계자들은 공사의 세계 최대 규모의 이스탄불 신공항의 성공적인 개항을 지원한 이스탄불 신공항 운영 컨설팅 사업 수행성과와 현재 사업을 진행 중인 베트남 롱탄 신공항 운영 컨설팅 사업 현황에 관심을 보였다.
베트남 정부 관계자는 향후 국제입찰이 예정된 '쟈빈 신공항 컨설팅 및 위탁운영 사업' 사업자 선정시 국제공항협의회(ACI)의 공항서비스평가(ASQ) 등 서비스 품질지표를 중요한 평가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밝히며 인천공항의 높은 서비스 역량에 대해서도 관심을 표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공항은 ACI의 공항서비스평가에서 12년 연속(2005~2016) 1위를 달성하고 최고 공항상에 해당하는 '올해의 공항상'을 2년 연속(2023~2024) 수상하는 등 세계무대에서 최고 수준 서비스 노하우를 입증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가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 중인 쟈빈 신공항 개발사업은 수용한계를 초과한 기존 수도공항(하노이 노이바이공항) 대체를 위한 건설사업으로, 2027년 말 연간 1500만 수용규모의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2030년까지 2단계 사업을 완료해 연간 3000만명 수용이 규모한 대규모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베트남 정부에서는 2027년 말 건설사업 완료시점에 맞춰 신공항의 성공적인 개항 지원을 위해 '쟈빈 신공항 컨설팅 및 운영사업'의 국제입찰을 준비 중으로 공사는 기존의 성공적인 해외사업 수행역량을 바탕으로 입찰에 참여해 사업수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해당 사업 사업기간은 12년(컨설팅 2년, 위탁운영 10년)으로, 주요 과업내용은 △건설 및 개항 준비 단계에서의 운용 개념서(CONOPS) 개발 △상업전략 수립 △신공항 운영준비(ORAT) 지원 △터미널 운영 및 유지보수(O&M) 등이다.
이 사장은 "베트남은 항공수요 증가세를 바탕으로 신공항 건설 등 공항개발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인 공사의 해외사업 중점 타깃 지역"이라며 "공사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쟈빈 신공항 운영사업 수주를 추진해 해외사업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