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파이팅! K-기업] 온라인만 키운 대형마트 의무휴업…13년째 ‘실효성’ 논란만 키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2010011993

글자크기

닫기

이창연 기자 | 차세영 기자

승인 : 2025. 09. 22. 18:07

한국경제硏 "전통시장 매출 효과 無"
시장경매로 야채 들여오는 롯데마트
수익 일부 상생기금 활용하는 스벅 등
협력 통해 지속가능 상생모델로 가야
clip20250922152158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연합뉴스
0402)컷 제작시 유의사항
대형마트가 매월 둘째·넷째 주 공휴일에 문을 닫는 '의무휴업제'의 실효성 논란이 여전하다. 13년째 시행되고 있지만 인근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 효과는 미미하고 오히려 소비가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지역 상권 전체가 위축되는 역효과만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2012년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으로 시작돼 소비패턴의 변화에도 여전히 시행 중이다. 현재는 지방자치단체가 휴업일을 평일로 전환할 수 있으나 공휴일 의무 휴업을 재추진하는 움직임에 이마저도 평일 전환 가능성이 닫혔다.

업계는 실효성이 없다는 의견이 팽배하다. 대형마트는 물론 주변 소상공인과 시장상인 등 그 누구도 혜택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4월 연 130만건의 소비자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형마트 휴업일에도 전통시장에서의 소비는 늘어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실제로 2022년 기준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의 평균 식료품 구매액은 610만원으로 대형마트가 영업하는 일요일에 비해 20만원 낮았다. 줄어든 만큼 소비자는 전통시장이 아닌 온라인이나 다른 날에 구매한다는 분석이다.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은 경쟁관계가 아니라는 평가도 나온다.

대형마트 업계는 전자상거래와의 차별적 규제를 문제 삼는다. 쿠팡, SSG닷컴, 마켓컬리 등은 24시간 새벽배송을 운영하는 반면 대형마트만 자정부터 오전 10시까지 영업과 배송이 금지돼 있어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달 발표한 '생활 속 불합리 규제 24건'에서 대형마트 새벽배송 제한을 대표 사례로 꼽으며 온라인 장보기가 보편화된 상황에서 대형마트만 규제하는 것은 공정경쟁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지역상권이 보호되기는커녕 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이 함께 전자상거래에 밀리며 '승자 없는 싸움'으로 끝나고 있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오히려 유통기업과 전통시장과의 공존을 통해 해법을 찾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대표적인 상생 사례가 스타벅스와 롯데마트다. 먼저 스타벅스는 현재 경동시장과 광장시장 내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두 매장은 '젊은 층과 외국인'을 전통시장 안으로 끌어온다는 데 의미가 있다. 레트로 콘셉트를 앞세워 MZ세대의 흥미를 자극하고, 단순한 카페를 넘어 체험형 공간으로 기능하면서 외국인 관광객까지 시장으로 유입하는 효과를 냈다.

특히 스타벅스는 두 매장에서 판매되는 품목당 300원을 상생기금으로 적립한다. 매장을 통한 고객 유치에 그치지 않고, 기금을 통해 시장의 자생력을 높이는 구조를 만든 것이다. 실제로 이 기금은 경동시장·광장시장의 시설 보수와 환경 정비에 쓰이고 있으며, 상인연합회 등과의 협약을 통해 시장 활성화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롯데마트는 상생의 무대를 '매대'에서 찾았다. 기업이 전통시장의 고객으로 직접 나선 것이다. 대표적으로 지난 5월 문을 연 구리점에는 '구리시 상생 농산물 코너'가 설치됐다. 구리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경매로 들여온 애호박, 가지, 오이 등 10여종을 직송해 진열대에 올린다. 덕분에 기업은 시세보다 약 30% 낮은 가격에 공급하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고, 시장 상인은 대형마트 고객이라는 안정적인 판로를 갖게 됐다. 소비자도 신선한 채소를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 결국 기업·상인·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공유하는 구조가 형성되면서, 온라인으로 향하던 수요를 다시 오프라인으로 끌어오는 효과를 만들었다.

이외에도 롯데마트는 시장의 문화·환경 지원으로도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달 구리 전통시장 입구 공연장에서 열린 미니 콘서트를 제작 지원했고, 지난해에는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함께 폐현수막을 건축자재로 업사이클해 수원 지역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제공했다. 단순한 판촉을 넘어 지속 가능한 상생 모델로 확장하는 시도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의무휴업으로 전통시장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은 온라인 확산이라는 새로운 변수 앞에서 한계를 드러냈다"며 "기업 입장에서도 전통시장은 지역 기반의 충성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파트너기에 서로가 가진 장점을 결합해야 시장 전체가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연 기자
차세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